[쓸로몬] 朴의 30개월, '행복' 저물고 '경제' 떠오르고

박근혜 대통령 취임사와 2015년 신년구상 연설문 키워드 분석

쓸로몬은 쓸모있는 것만을 '즐겨찾기' 하는 사람들을 칭하는 '신조어' 입니다. 풍부한 맥락과 깊이있는 뉴스를 공유할게요. '쓸모 없는 뉴스'는 가라! [편집자 주]

박근혜 대통령 임기가 반환점을 돌았습니다. 지난 2013년 2월 25일 제18대 대통령 취임 이후 약 30개월이 지나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이제 말 그대로 임기 후반전을 맞이하게 됐는데요.

故 박정희 대통령의 딸이자 대한민국 최초 여성 대통령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던 박근혜 대통령.

박 대통령이 취임 당시 밝혔던 포부와 2015년 신년구상의 생각은 과연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쓸로몬에서 2013년 대통령 취임사와 2015년 신년구상 연설문의 키워드를 빈도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살펴봤습니다.

2013 취임사 vs 2015 신년구상



먼저 두 연설문을 키워드별로 정리해 사용된 단어의 빈도를 살펴봤습니다. 이들 단어를 빈도 횟수로 정리해 총 7회 이상 사용된 단어들을 취합했습니다.

두 연설문에서 공통으로 많이 사용된 단어는 <국민>, <여러분>이었습니다. 변화를 강조한 첫 여성 대통령답게 <새로운>이라는 키워드도 많이 사용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생각의 변화



2곳에 공통으로 들어간 키워드를 제외하면 임기초와 임기 중반에 사용했던 말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대통령 취임 당시에는 <새>, <시대>, <행복>, <희망>, <꿈>, <길>, <사회>, <사람>과 같은 사회적 용어들이 주로 쓰였습니다.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대한민국의 미래와 희망에 대한 포부를 밝히면서 ‘국민대통합’을 이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 <규제>, <성장>, <수출>, <에프티에이>, <시장>과 같은 경제용어들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경제>를 강조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구상은 <행복>, <희망>, <꿈> 등의 단어보다 우선시 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전매특허였던 <창조경제>는 취임 당시보다 많이 줄었는데요. 2013년 취임사만 하더라도 <창조경제>는 <경제>보다 자주 사용 되었으나 2015년 들어서는 <경제>가 훨씬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두 연설문의 네트워크 분석

2013년 취임사 네트워크 분석.

2015년 신년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단어 간의 중심성과 연결성을 살피는 네트워크 분석결과는 어떨까요? 네트워크 분석은 단어 간의 연결성을 분석하는 사회과학 기법으로 중심에 있을수록 집중도가 높은 척도를 나타냅니다.

두 연설문에서 사용된 단어 중 빈도수 7회 이상의 단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을 한 결과 취임 당시 연설에서 가장 중요한 가장 중심에 있던 <행복>이 2015년에는 사라진 것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반면 <경제>, <수출>, <시장>, <성장> 등의 단어가 중심어로 분류돼 경제에 치중하고 있는 2015년 신년구상 연설문의 특징을 분석을 통해 검증할 수 있었습니다.

<경제>에 올인한 박근혜 대통령


그런데요. 행복 없는 경제가 과연 무슨 의미가 있나요.

박근혜 대통령이 <시장> 활성화를 명분으로 경제인 사면까지 단행했지만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로 인해 <행복>과 <희망>을 느꼈을까요?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