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아베담화 수용…'성의있는 행동' 조건 달아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제공/자료사진)
박근혜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내면서도 사실상 수용의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앞으로 일본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는 공언을 일관되고 성의 있는 행동으로 뒷받침하여 이웃나라와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1965년 국교정상화 이래 고노담화, 무라야마 담화 등 역대 일본 내각이 밝혀온 역사 인식은 한‧일 관계를 지탱해 온 근간이었다"면서 "그러한 점에서 어제 있었던 아베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는 우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역사의 대한 인식은 가린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살아있는 산증인들의 증언으로 살아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 국민들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준 점과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한 사죄와 반성을 근간으로 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분명하게 밝힌 점을 주목한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일본이 이웃국가로써 열린 마음으로 동북아 평화를 나눌 수 있는 대열에 나오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속히 합당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베 담화가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고 공언한 만큼 앞으로 행동으로 실천함으로써 진정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일종의 '조건부 수용'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에 식민지배와 침략, 사죄, 반성 등의 문구는 포함시켰지만 간접 화법이나 가해 책임을 명시하지 않는 제3자적 어법 등으로 인해 진정성을 의심받았다.

박 대통령은 "비록 어려움이 많이 남아 있으나, 이제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아가야 할 때"라면서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양국의 위상에 걸맞게 동북아와 세계의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공헌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