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가 광복 70주년인 뜻깊은 해라는 점에서 이번 경축사의 전반적인 기조는 '화합과 미래'에 방점이 찍힐 전망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해방 이후 70년 동안 극도의 빈곤을 벗어나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대한민국에 대한 긍지와 자신감을 바탕으로 미래 70년을 위해 온 국민이 하나로 뭉쳐 현재의 난관을 헤쳐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경축사를 구성하는 2개의 축인 대북·대일 메시지도 올해가 광복 70주년일 뿐 아니라 분단 70년, 한일수교 50주년 등 또다른 상징성을 띠고 있어 '화합과 미래'라는 큰 기조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북 메시지의 경우 강력한 억지력을 바탕으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고, 만약 도발을 감행하면 철저하게 응징할 것이라는 경고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고 청와대 관계자들은 전했다.
그러면서도 광복의 진정한 완성은 남북 평화통일에 있다며 평화통일의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북한이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과 평화 구축을 위한 대화제의에 호응하기를 촉구한다는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전날 연합뉴스와 통일준비위원회가 공동주최한 '2015 한반도 통일 심포지엄'에 축하메시지를 보내 "북한의 끊임없는 군사도발과 핵개발 문제를 극복하는 해결책은 평화통일에 있다"며 남북 교류협력을 통한 경제·사회적 발전,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교류협력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일본에는 한일 양국이 협력할 여지가 많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만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관계 개선이 필수적이지만 이를 위해선 과거사 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한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재차 발신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북·대일 메시지의 전체 기조는 변동 없겠지만, 지뢰도발에 대한 북한의 동향과 이날 저녁 예정된 일본측의 아베 담화 발표 등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메시지 수위를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대북 메시지는 북한의 지뢰 도발 사건으로 경색된 남북관계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 상황에서 도발 이후 침묵을 지키고 있는 북한이 광복절 당일까지 우리 측에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참모는 "북한이 명백한 도발을 했는데도 태도에 변화가 없다면 도발에 대한 강력하고 철저한 응징이라는 압박성 메시지가 더욱 강경해질 것이고, 반대의 경우 대화와 협력이 강조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대일 메시지도 이날 저녁으로 예정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아베담화)에서 과거사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다뤄지느냐에 따라 톤이 조절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계승해야 한다"며 전후 50주년 무라야마 담화와 60주년 고이즈미 담화에 명시된 침략·사죄·반성·식민지배 등 4대 핵심표현을 담아 진정한 반성의 태도를 보이라고 촉구해왔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북 메시지나 대일 메시지 모두 상대방이 어떻게 하느냐가 변수이고 그에 따라 방향과 수위가 달라질 수 있어 경축사를 준비하는 대통령의 고민도 막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