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함께 살아가야 할 반려 동물에 대해 다양한 복지 혜택을 줘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깔려 있다.
하지만, 반려 동물로 강아지를 구입해 죽을 때까지 15년 동안 감당해야 할 복지비용이 2천만 원이 넘는다는 사실은 동물복지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동물복지가 말로만 해서는 결코 실현될 수 없는 이유다. 반려동물의 주인이 경제적 비용과 본인의 능력을 꼼꼼하게 따지지 않고 '개 한 마리 키워 볼까'하는 즉흥적인 판단을 했다면 다시 고민해야 한다.
반려동물이 아닌 앞으로 내다버릴 유기동물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 강아지 입식에서 장묘까지 2,112만 원 소요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2013년 발표한 '반려동물 소비실태 및 개선방안'에 따르면 강아지한 마리를 기르는데 드는 비용이 평균 수명 15년 기준으로 2,112만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처음에 31만 9천원을 주고 입양한 후 사료비와 간식비, 용품비, 진료비, 미용비 등으로 한달 평균 11만 4,446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집계했다. 여기에 장묘 비용 20만 원이 추가된다.
고양이의 경우는 평균 수명 15년 기준으로 1,996만 원이 소요된다. 입양 대금 28만 7천 원에 한달 평균 10만 8,204원 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했다.
반려동물 한 마리를 기르는데 연간 14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다는 분석이다.
반려동물은 말 그대로 주인과 평생 함께 생활한다는 의미다. 이런 반려동물을 선택하기 위해선 경제적으로 냉정한 판단이 선행돼야 한다.
경제적인 비용 부담을 견뎌내지 못한다면 내다 버리거나 유기견 센터에 보내 안락사 처리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국내 등록대상 반려동물은 170만 마리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달 말 현재 58% 정도가 정식 등록됐다.
그런데, 올들어 지난달까지 주인으로부터 버려진 유기동물만 4만 7,000여 마리에 달한다.
특히, 유기동물은 지금처럼 휴가철에 많이 발생한다. 주인들이 해변가나 계곡 등지에서 버리고 오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한달 동안 유기된 동물이 8,300여 마리로 월평균 대비 23.4%나 급증했다고 밝혔다.
◇ 정부, 동물 의료보험체계 도입 검토
농협경제연구소는 동물 관련 산업 규모가 지난해 2조원에서 오는 2020년에는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도 사료와 용품 개발에서 동물의료 분야까지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수의사협회 등에 따르면 강아지의 다리가 부러질 경우 수술 비용이 50만 원에서 많게는 100만 원 이상 소요된다.
우리나라 동물복지 시스템에 의료보험 체계가 없기 때문에 동물병원 마다 이른바 '부르는 게 값'이 됐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동물복지가 이제 막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진료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며 "수의사협회 등 동물 관련 단체들과 대책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국내에서 2-3개 업체들이 동물보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아직은 구체적인 운영 방안 등이 마련되지 않았지만, 동물산업 시장이 커지고 동물복지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아진다면 사업적으로 충분히 가능한 얘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