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 0.05%. 신격호 총괄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롯데그룹의 지분이다.
무려 416개. 신 총괄회장이 소량의 지분으로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배경, 순환출자 고리 숫자다.
10만명, 0.05%, 416개 이 세 개의 숫자는 형제간 경영권 분쟁과 맞물려 롯데그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비중에 비해 얼마나 후진적인 지배구조와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는지를 그대로 드러낸다.
신동빈 회장 등 롯데가(家)가 소유한 지분을 모두 끌어모아도 그룹 내 지분율은 2.41%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거미줄식 순환출자 구조를 통해 총수, 단 한 사람에게 권력이 몰려 있기 때문에 '승자독식'이 가능했고, 이 과실을 얻어내기 위해 벌어지는 게 최근 롯데가 분쟁이다.
이런 구조에서 가능했던 것이 신격호 총괄회장의 '황제경영', 환갑이 넘는 아들들을 서로 경쟁시켜 왔던 힘이다. 롯데가 분쟁 노출의 서막이었던 지난달 27일 신 총괄회장의 해임지시는 이사회 절차가 아닌 '손가락질'로 이뤄졌다. 신동빈 회장을 비롯한 6명의 이름을 가리키며 해임하라는 지시였는데, '총수의 지시'가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건 롯데그룹 내에서 일반적인 일이었다고 한다.
장남인 신동주 전 부회장이 한국에 머물며 '아버지의 뜻'을 강조하는 과정은 특히 롯데가 그동안 얼마나 전근대적인 의사 결정이 이뤄져 왔는지를 낱낱이 보여줬다. 총수의 서명과 도장이 찍힌 이른바 '해임 지시서'가 상법상 규약이나 이사회 절차를 초월한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1인 지배 구조, 승자독식 구도인 이상 벼랑 끝에 선 싸움을 할 수밖에 없고, 경영권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는 것"이라면서 문제의 본질에는 재벌가 지배구조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 회장은 귀국 직후 롯데호텔에 머물고 있는 신격호 총괄회장을 찾았지만, 부자간 만남은 단 5분 만에 끝난 것으로 전해졌다. 타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향후 일본롯데에서 골육상쟁의 표 대결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