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은 '유능한 경제정당 위원회'를 출범 시키고 경제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신호탄을 쐈다.
새정치연합이 '경제정당'으로서의 이미지 변모를 꾀하는 것은 잇따른 대선, 총선에서의 패배가 ‘중도’를 잡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문제인식 때문으로 보인다.
차기 집권을 위한 49%의 벽을 넘으려면 중도층을 잡아야 하는데, '경제' 분야에서의 유능함을 통해 수권 정당으로서 거듭나야 한다는 데 고민이 깊다.
새정치연합은 참여정부 이후, 이명박 박근혜 후보와의 대선 경쟁에서 '부패가 무능보다 낫다'는 프레임에 갇히면서 '무능'의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다. '무능'의 트라우마를 벗고 집권을 위한 '유능함'을 보여줄 수 있는 분야로 경제를 꼽고 있는 것이다.
문 대표는 지난달 30일 '유능한 경제정당위원회' 출범식에서 "유능한 경제정당을 만드는 것이 국민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당의 집권 비전이라고 생각한다. 위원회는 당의 집권 엔진"이라면서 "총선 승리를 넘어 집권하는 순간까지 위원회가 경제분야의 '섀도캐비닛'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이전까지 야당이라고 할 때 떠오르는 '이념 정당'과 '정쟁에 몰두하는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대기업과 재벌'을 적으로 규정하는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위원회는 이를 위해 대기업 정책 부터 중소기업, 자영업정책, 재정 및 조세 정책 등 경제 전반을 분야별로 나눠 분과위원회를 만들어 정책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우석훈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유능한 경제정당의 목표는 선거 승리"라며 "'온국민의 경제'를 살리는 게 목표다. 대기업도 서민도 중산층도 조금씩 더 나아질 수 있는 삶을 모색해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전까지는 여러 형태로 편가르기를 했다면 이제는 '척 지는 경제'를 벗어나 다같이 타협하면서 성장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표도 야당대표로서는 이례적으로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전경련과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를 방문하는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새정치연합의 경제정당 행보가 당 쇄신을 위해 꾸려진 혁신위원회가 주장하는 '정체성 확립'과 상충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혁신위는 당의 정체성을 확립해 전통적인 지지층, 즉 서민과 중산층을 결집해야 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지난달 12일 혁신위 첫 회의에선 혁신위원들은 '당 정체성 부족', '아래로 가는 현장형 정치를 통한 민생 정당', '보편적 사회복지 이념에 기초한 복지국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눈물을 닦는 정치' 등 진보 진영의 지향점에 가까운 목표를 제시했다.
혁신위의 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30~40%의 안정적인 지지층이 있을 때 확장성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중도층을 잡겠다는 것이 선거 전략 상 구호는 될 수 있어도 중도층이라는게 그만큼 유동적인 사람들인데 그들을 항상 내편으로 만드는데 몰두하다가 지지층까지 이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지지층을 확실히 잡은 다음에 외연 확장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갑수 한국사회여론연구소 대표는 "한국 사회가 현재 유례없는 양극화 사회로 치닫고 있다. 비정규직이 50%에 육박하고, 영세 자영업자의 몰락이 속출하는 시기에 중도를 잡기 위해 중산층의 이해를 대변하다가 자칫 이 당의 주된 지지층. 비정규직 영세자영업자 대변되는 절대 다수의 서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길로 갈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문 대표측 관계자는 "중도 잡기 행보와 정체성 확립 행보가 상충된다고 보지 않는다"라며 "문 대표가 외연 확장에 힘쓰는 한편으로 혁신위가 전통적인 지지층을 잡아주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