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거시 충격이 가계 부문 부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집값이 지금보다 15% 하락하면 위험부채 비율은 지금의 19.3%에서 29.1%로 9.8% 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위험 가구비율도 현행 10.3%에서 13%로 2.7% 포인트 늘어난다.
또 금리가 3% 상승하면 위험부채 비율은 19.3%에서 30.7%로 11.4% 높아지고, 위험가구 비율도 10.3%에서 14%로 3.7% 포인트 증가한다.
금리가 2% 오르고, 주택가격이 10% 떨어지는 복합 충격이 발생할 경우 위험부채비율은 32.3%로 13%포인트 늘어나고, 위험가구 비율은 14.2%로 3.9% 포인트 증가한다.
가구 특성별로 고소득층과 고자산 보유 계층은 모두 부실위험 수준이 낮지만, 고소득층의 경우 금리 상승 및 주택가격 하락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좋은 반면 고자산 보유 계층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위험가구 수는 112만2천 가구로 전년(111만8천 가구)보다 4천가구 증가했다. 새로 포함된 위험 가구들은 주로 소액대출 위주의 취약계층 (저소득·저자산·월세·비정규직 가구)이었다.
다만, 위험 가구가 보유한 위험부채의 전체 규모는 지난해 166조3천억원에서 143조원으로 23조3천억원 감소했다.
한편 가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138.1%(추정치)로 지난해 9월 말(135.4%)과 비교해 불과 2분기 사이에 2.7%포인트 상승했다. 가계 소득은 제약된 상황에서 가계부채가 늘었기 때문이다.
가계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상환지출 비율은 지난해 4분기 37.7%로, 전년 동기(36.6%)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금리 하락으로 이자비용은 감소했지만 원금 상환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가계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226.7%로, 지난해 9월 말(222.8%)보다 3.9%포인트 높아졌다. 가계의 금융자산 증가율이 금융부채 증가율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지난해 8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빠르게 확대되면서 올들어 3월말 현재 1천99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나 증가했다”며 “가계부채의 양적 규모 확대 등으로 재무건전성이 다소 저하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