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보험료 수입 증가률 7.5%로 상향조정

경제전망률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보장성보험·퇴직연금 성장세 급증 영향

자료사진 (사진 = 스마트이미지 제공)
올해 보험산업 성장세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경제가 예상보다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 성장세가 2014년 10월 당시 전망보다 크게 나타나 2015년 보험산업 수입(원수)보험료가 7.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연구원의 당초 전망치인 5.2%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생명보험의 경우 지난해 수입보험료는 저축성보험의 기저효과로 1.9%(보장성보험: 5.1%, 저축성보험: -5.0%, 단체보험: 40.9%)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올해는 보장성보험 확대 전략과 사적연금시장 활성화 정책에 따라 지난해와 같이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이에 따라 보장성보험은 6.7%(기존 4.5%), 기저효과가 사라진 저축성보험은 4.7%(기존 5.0%), 단체보험은 27.3%(기존 10.8%)로 증가율을 수정했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종목별 전망이 수정됨에 따라 올해 전체 생명보험 수입보험료 증가율 전망을 7.9%(기존 5.4%)로 조정했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연구원은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는 장기손해보험과 자동차보험이 회복세를 보이고 퇴직연금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냄에 따라 8.3%(장기손해보험: 6.1%, 개인연금: -3.2%, 퇴직연금: 78.9%, 자동차보험: 5.2%, 일반손해보험: -0.3%)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장기손해보험은 장기상해보험과 장기질병보험 증가세에 힘입어 6.6%(기존 5.8%), 퇴직연금은 확정급여형 최소적립비율 상향 조정으로 26.5%(기존 5.6%) 증가할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자동차보험은 지난해 미반영된 자동차보험료 인상분과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 등으로 4.7%(기존 3.7%), 일반손해보험은 경제 부진으로 1.6%(기존 2.8%) 늘어날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개인연금은 경제 부진 및 초회보험료 저성장으로 1.5%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당초 연구원은 개인연금 원수보험료가 0.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종목별 전망이 수정됨에 따라 올해 전체 손해보험 원수보험료 증가율 전망도 7.0%(기존 4.8%)로 조정됐다.

한편 연구원은 올해 국내 경제 성상률을 3.7%로 전망했지만 전망치를 2.7%로 낮췄다.

연구원은 가계부채 부담과 주거비 상승 등으로 민간소비가 본격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고, 유로화 및 엔화 약세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부진, 그리고 선진국의 수입 수요 감소로 수출이 예상보다 크게 위축되고 있는 상황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 하반기 추경에도 불구하고 메르스 감염 확산 정도에 따라 성장률이 더욱 낮아질 가능성이 있는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공공요금 인상 이외에는 특별한 상승 요인이 없다는 점을 국내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의 이유로 꼽았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