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운영하고 있는 '메르스 포털'에 따르면 21일 '환자 발생 및 경유 의료기관'이라는 제목으로 확진자에 노출된 병원명이 공개돼 있다.
서울과 경기, 부산 등 모두 84곳의 병원 이름과 위치, 노출 기간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그러나 확진자가 거쳐간 약국 정보는 찾아볼 수 없다.
확진자 상당수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뒤 약국에 들러 약을 처방받았고, 증상이 발현된 환자가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약국에 수분간 머물렀다면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보건당국은 "약국은 병원에 비해 위험하지 않다"는 판단 아래 약국 정보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확진 환자가 경유한 노선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약국은 거론하지 않았다"며 "공식적인 브리핑이나 보도자료를 통해서도 폐쇄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도 마찬가지여서, 한 관계자는 "약국 정보는 시군구에서 파악해야 하고, 약국에 대한 정보는 우리에게 없다"고 잘라 말했다.
메르스 포털에서는 확진자가 탔던 KTX 열차와 누리로 열차, 제주항 대한항공 비행기, 호텔 이름까지 공개하는 것에 비해 유독 약국 정보 공개에만 소극적인 것
'현장 대응과 긴급지원만으로도 인력이 빠듯해 약국까지 쫓아다닐 여력이 없다'는 게 질병관리본부 측 설명이다.
◇ 깜깜이 보건당국에 애타는 지자체…약국명 공개하며 선제적 대응
이렇다 보니 일부 지자체는 확진자 동선에 포함된 약국을 먼저 공개하고 있다.
서울 관악구청은 137번 환자가 다녀간 약국에 폐쇄 명령을 내렸다. 구청 관계자는 "특별한 지침 없이 '언제 어디를 다녀간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았으니 자동 조치해라'는 공문을 보건당국으로부터 전달받았다"며 "대책회의를 통해 약국 폐쇄 명령을 내렸다"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도 지난 16일 메르스 확진 환자 이동 경로에 포함된 약국 2곳의 정보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렸다.
전문가들은 "병원 못지 않게 약국도 '지역사회 전파' 차원의 위험성을 지닌다"고 지적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약국 역시 환자가 거쳐간 통로이기 때문에 폐쇄해야 한다"며 "약국이 의료기관에 비해 전파력은 낮아도 지역사회 노출이라는 측면에서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약국에서 노출된 것과, 확진자와 버스나 택시를 함께 타는 것은 다를 바 없지 않느냐"며 "보건당국에서 약국 정보를 누락하고 있지만 약국에서 만난 사람도 노출자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는 모든 병·의원은 물론 메르스 확진자가 다녀간 약국까지 공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