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WHO는 9차 메르스 긴급위원회 개최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한국의 메르스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를 선포하기 위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밝혔다.
세계 보건규정상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질병의 범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다른 WHO 회원국에 위협을 끼쳐, 국제사회의 공동대응이 필요한 특별한 사태를 의미한다.
WHO는 다만, "한국의 메르스 발병이 경종을 울리는 계기(wake-up call)가 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한국에서의 메르스 확산은 이동이 활발한 사회에서 모든 국가는 예기치 않은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 발발에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WHO는 또 "여행이나 교역제한을 권고하지 않으며 입국시 검색하는 것도 현 단계에서는 불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WHO는 그동안 2013년에 네 차례, 2014년에 세 차례, 올해 들어 지난 2월 등 모두 8차례에 걸쳐 메르스 긴급위원회를 소집한 바 있다.
메르스 긴급위원회와는 별도의 기구인 에볼라 긴급위원회는 지난해 8월 초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확산과 관련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특별한 대응을 하도록 WHO에 권고한 바 있다.
앞서, WHO는 16일 한국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사람 간 감염이나 지역사회 감염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크리스티안 린드마이어 WHO 대변인은 제네바 소재 유엔 사무실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메르스 바이러스는 아직 중동에서와 다르지 않은 양상"이라며 "여전히 병원의료체계 내에서만 확산되고 있으며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볼만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왜 유독 한국에서 메르스 바이러스가 넓게 퍼졌느냐는 질문에 "첫 감염사례가 감기로 오판돼 발견이 늦어졌고, 병원과 응급실이 극도로 많은 인원을 수용하고 있어 밀도가 높은데다,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 문병하는 관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듯하다"고 설명했다.
WHO는 메르스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거나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있는 사람은 국내외 여행을 피하고 격리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