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자 수천명 코앞인데… 정부 수용인원은 150명뿐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국내 감염자가 18명으로 늘어난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메르스 의심환자 및 확진 환자를 위한 격리센터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와 격리대상자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는 가운데 정부는 이들을 수용할 격리시설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3일 국내 메르스 환자가 5명 추가돼 30명으로 늘어났고, 이 중 3차 감염자도 3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750명을 넘긴 격리관찰대상자는 기존 메르스 감염 의심자에 대한 추적조사를 마치는 이날 안으로 1천여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더해 3차 감염자까지 등장하면서 메르스 의심 격리대상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어, 수천명을 격리해야 할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실정이다.

일단 복지부는 밀접접촉자 중 50세 이상 고령자나 당뇨병 혹은 심장병 등 만성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을 우선순위에 올려 자택이 아닌 별도 시설에 격리할 방침이다.

하지만 현재 정부가 확보한 격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150여명 수준으로, 특히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음압병상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전국 17개 병원에 격리병상을 운영중이지만, 기압 차이를 이용해 감염된 공기 배출을 막는 음압 병상은 105개에 불과하다.

격리대상이 급증하는 사태가 벌어져도 격리할 시설과 의료진이 부족해, 자택격리 처분만 내릴 위기가 코앞으로 다가온 셈이다.

복지부는 급히 격리시설을 추가로 확보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반발이 또 다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당장 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충북 충주시의 한국자활연수원을 격리시설로 지정하려 했지만, 해당 지자체의 강한 반발에 부딪히고 말았다.

충북도와 충주시는 "아직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충북에 메르스가 발생할 수 있고, 해당 시설에는 의학적 시설도 없다"는 이유로 연수원 정문을 차량으로 막아서는 등 격렬히 반대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설격리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도 "(격리시설을 확보할)특정 지역을 언급하기 곤란하다"며 확보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