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거래는 재벌 그룹에 속하는 계열사끼리 물건을 사주거나 인력을 지원하는 등의 그룹내 거래행위를 말한다.
계열사 간에서도 필요한 거래는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내부거래를 모두 위법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문제되는 것은 부당내부거래로 인정되는 경우이며 공정거래법에서 이를 규제하고 있다.
2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공기업을 제외한 10대 그룹의 계열사 간 내부거래액은 작년에 155조 6천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조 4천억원(0.91%) 증가했다.
10대 그룹의 내부거래 비율은 2013년 14.36%에서 14.55%로 0.19%포인트 높아졌다.
10대 그룹의 내부거래 규모는 2010년 117조 9800억원에서 2011년 152조 5600억원으로 급증한 뒤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비난이 높아지자 이듬해인 2012년 151조 3천억원으로 주춤했다가 다시 2년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룹별 내부거래액은 SK와 롯데, GS, 현대중공업 등 4개 그룹은 큰 폭으로 증가했고 삼성과 현대차, LG, 포스코, 한진, 한화 등 6개 그룹이 1년 전보다 줄었다.
◇ 부당내부거래 중 차별거래가 가장 문제
SK그룹의 내부거래 비율도 작년 28.88%로, 1년 전보다 2.87%포인트 뛰어 역시 10대 그룹 중 최고를 기록했다.
GS그룹은 2013년 2조 2천억원이던 내부거래 규모가 작년에 2조 7400억원으로 5400억원(24.4%) 증가해 10대 그룹 중 증가율이 가장 높지만 내부거래 비율은 4.31%로 가장 낮았다.
내부거래액은 롯데그룹이 전년보다 4천억원(4.5%) 증가한 9조 3200억원, 현대중공업그룹은 1700억원(2.8%) 늘어난 6조 4천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포스코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은 내부거래액이 1년 전보다 각각 1조 8300억원(11.8%), 3조 3500억원(9.7%) 감소했으나 내부거래 비율은 각각 19.39%와 18.80%로 10대 그룹 중에서 2, 3위에 올랐다.
30대 그룹으로 범위를 넓히면 미래에셋그룹의 내부거래액이 작년에 3천억원으로 규모는 작지만 증가율은 241.9%로 가장 높았고 KCC그룹의 내부거래액도 작년에 3800만원으로 전년보다 73.1% 급증했다.
한편, 기업의 부당내부거래는 4가지 유형 가운데 재벌그룹이 어떤 계열사를 지원하기 위해 물품을 비계열사에 대한 판매가격보다 싼 가격에 공급하거나 계열회사의 제품을 비싸게 사주는 등 거래조건이나 지불조건 등에서 차등을 두어 혜택을 주는 차별거래의 경우가 특히 문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