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의 계파 갈등은 정당 내의 자연스러운 계파 분화의 차원을 넘은지 오래다. 새정치연합내의 갈등의 구조적 요인은 물론 구 열린우리당 계열과 구 민주당 계열의 화학적 결합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9대 총선과 18대 대선, 그리고 박근혜 정권 출범 이후의 잇단 선거 패배는 제1야당의 리더십과 계파 갈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근본적 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친노 대 비노의 갈등 구도는 이미 정치권과 유권자들에게 프레임으로 굳어져 가고 있다. 친노, 범친노, 범주류, 비노, 동교동계 등의 정치적 그룹들은 이미 정책이나 노선의 차이에 입각한 계파의 차원을 벗어나 있다.
각 계파가 지향하는 패권주의의 고질적 병폐를 치유하지 않는 한 대안정당으로서 정권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는 찾아오지 않는다. 새정치연합 김한길 전 대표는 문재인 대표에게 친노의 좌장으로 버티든가, 야권을 대표하는 주자가 되기 위해 결단 하든가의 양자택일을 요구하고 있고, 동교동계도 사실상의 당 대표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해 7.30 재보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가 물러났으나 4.29 재보선 참패 후 문재인 대표의 입장 표명에서 선거 패배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나 향후 당 혁신에 대해 구체적 방안을 찾을 수 없다.
사실 관계가 무엇이든 친노패권주의가 제1야당의 계파 갈등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해석되는 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할 수 있는 주체도 친노 그룹임을 부인할 수 없다. 문재인 대표가 전당대회를 통하여 선출된 당 대표로서 계파를 초월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
당 대표직 사퇴를 포함하여 측근들을 배제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라도 강구해야 한다. 계파의 ㄱ자도 나오지 않겠다고 한 문대표의 약속은 이미 지켜지지 않았다. 정권을 창출할 수 있는 수권정당이 목적이 아니고 특정 계파의 패권에 집착한다는 친노그룹에 대한 혐의를 벗기 위해서라도 기득권 포기와 진정성 있는 자기희생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것이 문재인 대표가 대선주자로 입지를 굳히는 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