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공인회계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공인회계사회 회원 1만7천269명 중 휴업한 회원이 5천965명으로 34.5%를 차지했다.
회계법인에서 회계 업무를 하려면 공인회계사회에 매년 30만원의 회비를 내고 연 40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는 등 등록 회원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반면, 회계법인을 떠나 공공 기관이나 민간 기업에 취직할 경우 굳이 돈을 내고 회원 자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업 회원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휴업 회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전체 회원 1만3천332명 중 3천999명(29.9%)이던 휴업 회원은 2011년 4천562명(32.4%), 2012년 4천880명(32.5%), 2013년 5천439명(32.7%)에 달했고, 지난해에는 34.5%로 증가폭이 더 컸다.
회계법인을 떠난 회계사 상당수는 새 직장으로 일반 기업을 택했다.
공인회계사회가 지난해 2월 휴업 회원의 근무처를 집계한 결과, 일반 민간 기업의 비중이 40.7%로 가장 높았고, 은행이나 보험회사 등 금융 기업이 26.3%로 2위를 차지했다.
이외 정부기관(11.0%), 공기업(6.9%), 대학(6.3%), 법률사무소(5.5%) 등이 뒤를 이었다.
회계사가 회계법인을 떠나는 데는 고된 업무에 비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보수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수습을 마친 회계사 초임 연봉은 대략 4천만원, 5년차가 돼도 5천만∼6천만원 선으로 대기업과 비슷한 수준이다.
삼일 회계법인에서 4년간 감사 업무를 하다 지난해 4월 공기업으로 이직한 이모(33)씨는 "결산기에는 밤 12시 이전에 퇴근한 적이 거의 없다"며 "새벽 2∼3시쯤이면 회사 앞에 택시가 줄지어 대기하던 기억이 난다"고 털어놨다.
이 씨는 "일이 힘든데도 기대보다 보수가 적고, 물가 상승분에 의한 연봉 증가는 거의 없는 편이었다"며 "감사 파트에서는 격무에 시달리다 퇴사하는 사람이 특히 많다"고 말했다.
이 씨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의 경력직 입사 동기는 모두 6명으로 그중 이 씨등 4명이 회계사 출신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회계사 시험의 응시자 수도 매년 줄어들고 있다.
2011년 1만2천889명이었던 응시자 수는 2012년 1만1천498명, 2013년 1만630명, 작년 1만442명으로 점점 줄었고, 올해(9천315명)는 1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공인회계사 시험을 주관하는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우리나라 감사 보수 수준 자체가 높지 않다 보니 회계사 월급이 일반 금융권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또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되면서 늘어난 감사 시간에 비해 보수가 더 떨어지면서 회계사 시험의 인기가 시들해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회계법인은 업무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근본적으로는 감사 보수 현실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회계법인 EY한영 관계자는 "경쟁이 너무 치열해 '제 살 깎아 먹기 식'으로 수임을 하다 보니 감사 업무만 수행해서는 인건비 대기도 빠듯하다"며 "감사 보수를 현실화해야 법인 소속 회계사의 처우도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