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6월 현재 분만이 가능한 종합병원과 병원, 의원과 조산원 등 의료기관은 641곳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4년의 1311곳에 비해 49.9% 수준으로, 10년만에 반토막난 셈이다.
전년 대비 감소율도 2011년 3.84%이던 것이 2012년엔 4.89%, 2013년엔 5.41%, 지난해엔 8.30%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산부인과가 사라지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이러다보니 전국 232개 시군구 가운데 산부인과가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시설이 없는 곳도 55곳이나 됐다. 4곳 가운데 한 곳에선 출산이 어렵다는 얘기다.
광역지자체 가운데 분만 가능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전남이 10개 시군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경남이 각각 9곳, 강원이 7곳, 전북과 충북이 각각 6곳, 경기와 충남이 각각 3곳, 부산 2곳 등이었다.
산부인과 의원의 개업 대비 폐업률도 다른 과목에 비해 가장 높은 223.3%(2013년 기준)를 기록했다.
산부인과의 이같은 급감 추세는 낮은 출산율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지난 2013년 출생아수는 43만 6500명으로 일년전보다 9.9%나 감소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가리키는 조출생률도 8.6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14세 이하 유소년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인 '노령화 지수'가 2003년 41.3에서 2013년엔 83.3으로 급상승했다"며 "이대로면 2017년엔 104.1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