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경비원 왜 분신까지…"조선시대 머슴 된듯"

부당 대우, 인격 모독당해도…"해고될까 두려워 아무 말 못 하죠"

일요일인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 경비원 김 모(63) 씨는 사무실로 걸려 온 주민 전화를 받느라 정신이 없었다.

한 주민이 "키를 두고 왔으니 아파트 공동현관문 좀 열어달라"며 전화를 걸자, 김 씨는 기계적으로 열림 버튼을 눌렀다.

"문 열어달라는 요청은 셀 수도 없이 많아요. 택배원들이나 외부 손님들은 키 없으니까 다 열어줘야 하고…. 그래서 자리를 뜨면 아예 마비되니까 곤란하고 힘들죠. 스트레스 많이 받아요"

대화를 나누던 중 아이들 서너 명이 자전거를 타고 와 "바퀴에 바람을 좀 넣어줄 수 없겠느냐"고 묻자 김 씨는 익숙한 듯 펌프를 꺼내 자전거 바퀴에 바람을 넣어줬다.

"아파트 차원에서 이런 서비스를 하게 돼 있으니까 하는 거죠. 한두 명씩 오면 상관없는데 여러 명 몰리면 정신없어요"

취재진과 이야기를 나누는 20여 분 동안 초소 전화기는 다섯 번이나 울렸고 업무를 지시하는 무전도 수시로 들어왔다.

김 씨가 속한 아파트 단지 경비원들은 2교대 체제로 돌아간다. 정신없는 24시간을 보내고 24시간 동안 쉬고 나면 또다시 24시간 근무가 돌아오는 것이다.

50~60대가 대부분인 경비원들은 당연히 체력적으로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다.

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비초소는 화장실이나 씻을 수 있는 공간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잠시도 쉴 시간이 없어요. 야간에 쉴 수 있는 시간이 고작 2~3시간 정도 될까. 경비생활이 그냥 먹고 노는 것 같아도 이런 스트레스가 엄청나게 많다고…"


입주민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음식 쓰레기통을 씻고 쉼 없이 떨어지는 낙엽을 쓸어내는 것보다 경비원들의 어깨를 더욱 처지게 하는 것은 '인격모독'이다.

서울 구로구의 한 아파트에서 일하는 경비원 박 모(50) 씨는 "입주민 중에는 '내가 돈 내서 너희가 월급을 받는데 왜 내 말을 듣지 않느냐'며 마치 조선 시대 하인 부리듯이 하는 경우도 많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박 씨는 "경비원이 보이면 오라고 하는 거에요. 가보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시키는데, 아직은 경비를 하면 자존심 상하는 것들이 정말 많더라고…"라며 말을 흐렸다.

서초구의 또 다른 아파트에서 일하는 김 모(45) 씨는 "젊은 사람이 입주민으로서의 우월의식 같은 것에 가득 차서 '나는 당신을 부리는 사람이다'라고 말했다"며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인격모독이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해도 경비원들은 입을 꾹 다물 수밖에 없다. 대부분 미래가 불안정한 간접고용 노동자들이기 때문이다.

경비원 박 씨는 "싸우게 되면 무조건 경비가 불리하다. 싸운다고 하면 그냥 그만둘 생각을 하고 싸우는 것이다. 누가 부당한지는 상관없이 일단 목소리 크게 나면 경비원은 일을 못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씨 역시 "매년 1년씩 재계약을 하는데 조금이라도 근무태도가 불성실해 보인다거나 하면 1년이 지나기 전에 자르는 경우도 많다. 그냥 일용직 노동자 같다"며 힘없는 목소리로 말했다.

급기야 지난주 서울 강남의 한 고급 아파트에서는 평소 업무와 관련해 입주민과 불화를 겪던 한 경비원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분신자살을 시도하는 극단적인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시민사회 관계자들은 본연의 경비 업무가 아닌 추가 업무들이 과도해지면서 경비원들의 피로가 깊어지는 것은 물론, 인격모독 등 정신노동의 측면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공감의 윤지영 변호사는 "아파트 경비원들을 만나보면 가장 힘든 것으로 꼽는 것이 인격모독의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용역업체가 바뀔 때마다 고용승계가 되지 않는다거나 퇴직금이나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등 간접고용의 폐단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인권의 사각지대'에 몰린 아파트 경비원들에 대한 처우와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