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은 느는데 은퇴는 그대로…소비 줄일 수밖에

노후불안이 민간소비 위축시켜…은퇴 늦추고 노년일자리 늘려야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노후 불안이 우리나라 전체 소비성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명은 늘어나는데 은퇴 시기는 큰 변화가 없어, 소비를 주도해야할 50대 이상 고령층이 거꾸로 소비를 계속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6일 공개한 '연령별 소비성향의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평균소비성향은 10년 전인 지난 2003년에 비해 4.6%p 하락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평균 소비성향이 하락하면서, 같은 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4.1% 증가했지만, 실질 민간소비는 이를 밑도는 3.2%만 증가하는데 그친 것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지난 10년간 평균 소비성향 하락분 4.6%p 가운데 50대 이상 평균소비성향의 하락 기여도가 2.2%p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50대 이상의 소비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3%에 불과하지만, 소비성향을 끌어내리는데는 절반 가까운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고령화는 일반적으로 평균소비성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50대 이상 중고령층이 오히려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같은 현상이 노후 불안 때문인 것으로 진단했다. 지난 2000년 이후 해마다 기대수명이 0.45세씩 증가하고 있지만, 은퇴시기는 이에 비례해 증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은퇴 뒤 생존기간이 길어지고, 노후에 필요한 소요자금이 증가하면서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에따라 소비성향은 전 연령대를 통틀어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결론이다.

게다가 현재 40대와 50대의 경우 교육비 지출성향이 가장 높았던 세대로, 자녀 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하면서 그만큼 노후자금이 부족해져 소비성향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를 쓴 권규호, 오지윤 연구위원은 "최근 민간소비의 부진은 기대수명 증가라는 구조적 요인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며 "기대수명 증가를 고려해 은퇴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산시키는 등 지속가능한 소비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런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소득증대 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소비수요를 진작하는 정책은 오히려 고령화된 이후의 소비생활을 더욱 궁핍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