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활강경기장이 가리왕산에 조성되면서 마을이 강제 이주를 둘러싼 복잡한 이해 관계에 얽혔기 때문이다. 기자가 현장을 찾은 4월 30일 곳곳에 내 걸린 이주 정책에 반대하는 현수막이 마을의 현주소를 대변하고 있었다.
폐교된 분교 건너편 구멍가게 처마 밑에 봄비를 피해 삼삼오오 모인 주민들은 착잡한 표정으로 지난 4월초부터 시작된 이주 보상협의에 따른 속내를 털어놓고 있었다.
산채 농사를 짓고 있다는 김기용(52) 씨는 주변 시세가 3.3m²당 50만원에서 70만원선에서 거래돼 왔다며 "아무리 감정 가격이라 해도 평생 농사를 지어온 땅을 평당(3.3m²) 30만원 선에 보상한다고 하는데 이 정도 돈으로는 더 촌으로 들어가지 않는 이상 땅을 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마을 공동체 해체를 걱정하는 주민들의 요구로 인근에 집단 이주단지 조성도 거론되고 있지만 입주 자격이 까다로워 해당자는 절반도 안된다는 불만도 있다.
이흥만(62) 씨는 "실 소유주가 실 거주하지 않으면 이주단지에 입주할 수 없다. 어머니가 아무 문제 없이 아들 명의의 집에 살아왔는데 졸지에 이웃들과 떨어져 타향으로 떠나야하는 신세가 됐다"고 전했다.
정부와 강원도, 동계올림픽 개최시군이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경기장 건설에만 몰입하면서 정작 경기장 건설로 인해 터전을 잃게 될 주민들의 불이익은 고민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불가피한 대목이다.
중봉주민대책위원회 맹광영 사무국장은 "시골 특성상 옛집이 많다. 건물 보상가가 평균 3천만원 선인데 군 단위 지역에서의 전세금도 안된다. 7,80대 노인들은 어디 가서 살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맹 국장은 "동계올림픽에 세번 도전하면서 주민들은 경기장 예정지라는 이유로 개발과 지원에서 소외돼 왔는데 이제는 올림픽이 유치됐다고 쫓겨나야하는 희생을 또 다시 강요받고 있다"며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다"고 덧붙였다.
활강경기장 주차장과 부대시설이 들어설 숙암리 보상면적은 49만 7천 416m², 보상액은 350억원 규모다. 현재까지 보상 집행액은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150억원 수준이다.
정선군 동계올림픽 지원단은 2016년까지 경기장 건설을 마무리해야하는 일정상 5월 말까지 보상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으면 공탁 절차를 통해 강제 이주 집행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