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진행 : 이종인 알파기술공사 대표 (해난구조 인양전문가)
세월호 사고,,,도대체 이 큰 배가 왜 이렇게 갑자기 기울어졌고 급격히 침몰했는가. 오리무중인 상황 궁금증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사고원인은 암초 때문일 것이다, 폭발 때문일 것이다, 여러 가지 의견들이 엇갈리는데 전문가 얘기를 들어보죠. 알파잠수기술공사 이종인 대표가 지금 연결이 돼 있습니다. 이종인 대표님, 나와 계십니까?
◆ 이종인> 안녕하세요?
◇ 김현정> 규모가 6800여 톤 그러니까 우리나라 최대의 여객선인데 이 여객선, 그것도 매일같이 같은 항로를 운행하던 배가 순식간에 침몰했다는 것, 도대체 어떤 원인일 거라고 보십니까?
◆ 이종인> 제 생각에는 배에 물이 들어온다는 건 무조건 밑에 암초하고 접촉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암초일 것이다?
◆ 이종인> 암초가 선체에 부딪힌 부분이 기관실 포함해서 선실 밑에서부터 범위가 좀 길었던 것 같아요, 좌현 측으로.
◇ 김현정> 길게 찢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그 증언을 종합해 보자면 암초에 부딪치는 쿵 소리를 들었다는 사람도 있고 못 들었다는 사람도 있고 이 정도 찢어지고 부딪힐 정도면 다 들어야 되는 거 아닌가요?
◆ 이종인> 그런데 ‘쿵’ 소리에 대한 각자들의 얘기가, 증언이 다 다르게 표현이 될 수가 있어요. 어떤 사람은 ‘쿵’ 소리 듣고 그 다음에 포박을 시켜놨던 옆의 컨테이너가 넘어지는 소리를 들었다거나 그 컨테이너 말고 중량물 화물이 옆으로 포박 줄이 떨어져서 선체를 쳤을 때 듣는 소리를 표현을 했거나 그다음에 진행을 하면서 부딪치는 거기 때문에 정면충돌이 아니고 그래서 승객들이 느끼는 그런...
◆ 이종인> 그것은 위치에 따라 다 틀리죠.
◇ 김현정> 소리를 들었을 분도 있고 못 들었을 분도 있다. 분명한 건 이렇게 큰 배가 이렇게 침몰하려면 많이 파공이 크게 생겼을 이유밖에는 없을 것이다라고 전문가로서는 보신다는 거죠?
◆ 이종인> 무조건 그렇죠. 좌현 아래쪽에. 그리고 이게 7000톤 정도면 큰 배는 아니죠.
◇ 김현정> 여객선 중에는 최대라고 하던데요?
◆ 이종인> 그냥 국내에 다니는 것 중에.
◇ 김현정> 암초에 걸려서, 그 정도 10m 정도가 찢어지면 그 정도 침몰이 일어날 수 있다고 지금 보시는 건데요. 여기 해역에는 암반이 없다, 암초가 없다는 이런 분석도 나오는데?
◆ 이종인> 물론 얘기들은 꼭 이런 사고가 나면 (나옵니다만)...침몰 지점에는 암초가 있을 수가 없죠. 수심이 35m 된다고 그러는데 그 근처까지 가기 전에 인천에서 제주 항로를 쭉 따라가다 보면 지금 사고, 침몰 지점 전에 한 10여 km 정도 그 부근을 지나오는 암초지대가 있어요, 섬 옆에.
◇ 김현정> 여기 닿기 전에. 지금 침몰 지점에 닿기 전에 이미 찢어져서 왔을 수도 있다?
◆ 이종인> 그랬으니까 여기 와서 침몰을 한 거죠.
◇ 김현정> 그러면 그게 충돌해서 선체가 찢어지는 순간 선장이나 승무원들은 알지 않습니까, 모릅니까?
◆ 이종인> 알죠, 알죠.
◇ 김현정> 알죠. 그런데 지금 신고가 들어간 걸 보면 8시 58분, 그것도 승무원에 의한 신고가 아니라 학부형에 의한 신고였습니다.
◆ 이종인> 그런데 8시 55분인가 초기에 항무제주라고 해서 무선교신을 하는 데가 있어요. 항무제주나 항무인천이라 해서 해상통신을 통제하는 데가 있는데 거기다 보고한 거는 뉴스 아침에 보니까 8시 55분에 ‘항무제주 배가 지금 기울고 있습니다. 해경에 연락바랍니다. 구조요청 바랍니다’라고 했다고 들었거든요. 8시 55분에. 그러면 사고가 난 것은 한 10분, 15분 전이라고 볼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부딪치자마자 배가 어떤 증상이 바로 나오는 건 아니니까. 그러니까 사고는 8시 55분에 그렇게 보고를 할 정도로 티가 났다면 8시 30분, 40분 이때 거기를 암초지대를 긁고 지나가지 않았을까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지금 침몰 지점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아까 10km라고 하셨나요? 그 정도 지점에 암초가 있다는 거는 확실히 아시는 겁니까, 추측이십니까?
◆ 이종인> 확실히 알죠. 그 섬이 근처에 있으니까.
◇ 김현정> 확실히 알고 계시는 거군요.
◆ 이종인> 그 옆에 섬이 있으니까요.
◇ 김현정> 이분께서는 그쪽 지리를 굉장히 잘 아시는 분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 100% 확신한다 말씀하셨어요. 이 배가 원래는 이 항로가 아닌 약간 비껴난 항로로 오는 배였는데 2시간 늦게 출발하는 바람에 빨리 제주도에 도착하려고 항로를 좀 변경한 게 아니냐라는 의혹도 나옵니다. 이건 어떻게 보세요?
◆ 이종인> 항로변경이나 항속을 증가시키고 이런 거는 항차마다 항해하는 시점에 따라서 그건 바꾸는 게 크게 불법이 되거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 김현정> 그건 선장의 판단으로 할 수 있는 건가요, 그 정도는?
◆ 이종인> 선장이 회사하고 어떤 얘기가 있었을 거고 그리고 배를 이제 조종을 한 거는 무조건 선장이라고들 생각을 하는데 배의 키를 잡는 사람은 교대로 잡습니다. 예를 들어서 12시간, 14시간 항해를 해야 되는데 그걸 혼자 잡고 갈 수가 없고요. 선장이 운전하는 게 아니에요. 그래서 어느 중요한 시점, 항구에 들어가는 뱃길이 좀 복잡할 때 이럴 때 키를 잡는다든가 이런 거고 나머지는 소위 조타수가 1등 항해사든, 2등 항해사든, 3등 항해사든 당직자가 두 시간 또는 네 시간씩 교대로 키를 잡거든요.
◇ 김현정> 분명한 건 항로를 조금씩 변경하는 것,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할 수 있는 일이다?
◆ 이종인> 그럼요.
◇ 김현정> 그건 분명하다는 말씀이군요.
◆ 이종인> 아무 저기가 없이... 무슨 제한이 있거나 법으로 정해져 있는 것도 없고.
◇ 김현정> 그러면 대표님, 아까 대표님도 알 정도인 암초지대가 거기 근처에 있다고 하셨는데 이분은 몰랐을까요?
◆ 이종인> 알았어도 그래서 제 생각은 항해를 이렇게 할 때 그 사고 난 게 대개 아침 시간이잖아요. 사고 났을 시간이 아침 8시 그 이후인데. 제 생각에는 그때 조타를 한 사람이,, 키를 잡았던 사람이 잠깐 신체적으로 졸았다든가 어떤 문제가 있지 않았나 이런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졸았을까요?
◆ 이종인> 왜냐하면 그 항로상에서 보면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조금만 틀면 섬이 나와요. 그래서 바다에는 노란색으로 실선이 그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중앙분리대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냥 막연하게 항공비행기가 하는 식으로 그냥 가상의 선이 있는 건데 거기서 잠깐만 틀어도 2, 3km 옆으로 가는 것은 순식간이거든요.
◇ 김현정> 알면서도 실수로 이렇게 암초지대를 지났을 수도 있다, 이런 말씀이시군요.
◆ 이종인> 그렇죠, 그렇죠. 아차 싶어서 뒤늦게 배를 잡아 돌렸을 때 이제 그런 식으로 배가 급회전을 했고 승객들이 그런 얘기를 또 증언을 했고. ‘배가 계속 뱅뱅 돌았다’ 그거는 조향 장치, 소위 배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타장치가 말을 안 들었을, 사고 이후에 안 들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거죠.
◇ 김현정> 그렇게 보세요, 지금 피해 규모가 커진 이유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게 안내방송 문제가 있습니다. ‘빨리 구명조끼 입고 밖으로 대피해라’가 아니라 ‘일단 그 자리에 앉아 있어라’라는 방송이 한 번 나온 게 아니라 여러 번 반복됐다라고 다들 일관적으로 증언을 하고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
◆ 이종인> 여러 번 반복됐다라는 그런 증언, 얘기도 한두 번이 여러 사람 얘기를 듣다 보니까 그렇게 강조됐을 수도 있고 일단 이런 해난사고가 났을 때 통제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을 안정을 시키는 게 우선순위입니다.
◇ 김현정> 이게 메뉴얼상 ‘가만히 있어라’라는 게 초기에는 맞는다는 말씀이시군요?
◆ 이종인> 맞죠. 그런데 이제 어떤 사고 상황이 그렇게 긴박하게 돌아갈 줄은 예상을 못했던 거고.
◇ 김현정> 못 했던 것이다.
◆ 이종인> 그 다음에 이 사람들은 배를 살리는 것보다는 승객 안전에 대해서도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왜냐하면 처음서부터 당황해서 이런 사고에 대해서 경험을 안 했다거나 또는 했어도 너무 안이하게 생각했었거나 .....
배의 구조상 여객선이라는 것은 많은 외부로 쌓여 있어요. 바깥쪽하고 일반 배처럼 이렇게, 우리가 보는 일반 배처럼 오픈 되어 있는 게 아니고 창문으로 다 가려져 있고 그래서 지금 이 배 특성을 다들 이해를 하고 있었으면 , 탈출을 (할때) 그 매뉴얼에 사람들을 오픈 된 옥상층이나 앞에 선수 갑판으로 다 몰았어야 되죠, 앞뒤로.
◇ 김현정> 이 정도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그 다음 안내방송이 나왔어야 된다는 거죠, ‘밖으로 나와라’라는?
◆ 이종인> 그렇죠. 그래서 지금 안내방송 자체도 기울고 나서 어떤 통신들, 어떤 파워가 전기가 끊어지고 발전기가 끊어지고 이렇게 해서 불도 꺼지고 이랬을 때 통신이 됐을 거라고는 생각은 안 하는데 그래도 이런 배 정도면 예를 들어서 ‘BACK-UP’, 예비 전원이 되는 게 주 전원이 나가도 DC전원으로...
◇ 김현정> 움직일 수가 있죠, 발전을 할 수가 있죠.
◆ 이종인> 기본적인 게 돌아갈 수 있도록 돼 있다면 통신이 됐을 겁니다. 그래서 그 안내방송이 그쪽으로 대피하라는 그게 이어졌어야 되는데 일단 고립된사람들이 나오지를 못한 것이 일단 경사가 졌으니까...
◇ 김현정> 그렇죠. 지금 그 정도 경사가 지기 전에 나온 사람들은 다 구조가 된 것 같고요. 배 밖으로만 나왔으면 된 것 같습니다, 지금. 그런데 안에 있던 특히 지시를 그대로 따랐던 아이들의 피해가 큰 것이 바로 그 안내방송을 그대로 들었기 때문인데요. 여기 나오는 것으로는 침몰이 한 90% 진행이 됐을 때 다시 안내방송이 나왔답니다. ‘배 밖으로 나가라’, ‘뛰어 내려라’ 결국 그 당시에는 뛰어내리고 싶어도 경사가 너무 많이 졌기 때문에 나갈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이런 이야기들이 지금 증언이 나오고 있는 거군요.
안내방송 이야기가 그렇고 또 한 가지는 이제 얼마나 많은 실종자들을 찾아낼 수 있을까. 구조해낼 수 있을까 이 문제인데요. 이미 시간이 24시간이 돼가고 있습니다. 이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 이종인> 희망적인 얘기로는 수심이 깊지 않다는 얘기예요. 한 35m. 그다음에 배 아래위 높이가 거의 한 20m 거의 30m에 육박하거든요. 배 선좌에서 제일 높은 데까지. 그게 뒤집어져 있으니까. 뒤집어져 있는 상태에서 생존자들이 공기를 따라서 위쪽으로 위쪽으로 위쪽으로 가서 남아 있을 확률은 커요, 지금.
◆ 이종인> 거기 가까이 가는 거죠. 거기까지는 갈 수가 없지만 선수 부분은 일단 배의 더블 바텀(double bottom) 해서 이중저로 해서 거기는 들어 갈 수 없는 탱크 부분이고 일단 수면 아래지만 공기가 있으면 수면 아래 10m, 15m 이렇게 된다면 공기만 있으면 연명할 수 있는 기간은 이틀이고 삼일이고 되거든요.
◇ 김현정> 그러니까 이미 물속에 잠겨 있더라도 격벽이라든지 배의 문 같은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 일반 문과는 다르기 때문에 공기가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 이종인> 그렇죠. 배 격벽 구조보다는 ...사람들이 기운 상태에서 퇴로를 찾아가요, 본능적으로. 한쪽에서는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향은 자꾸 공기 있는 쪽으로 몰리다가 거기가 막혀 있으면 거기에 이제 고립이 되는 건데 , 운 좋게 몇 사람들은 화물칸으로 갈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지금 선수 부분 큰 공간은 화물칸이에요, 화물칸. 차를 싣는 데. 그래서 차를 타고 운전석에 있을 리는 없었겠지만 누군가 거기 있었다면 거기도 사람이 있을 수 있고 객실에서 빠져나와서 연결되는 선수 앞쪽의 화물창고 쪽으로 비어 있으면 거기가 공간이 굉장히 큰 데입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물에 배가 다 잠겼더라도 이게 워낙 큰 배기 때문에 중간중간에 공기가 있을 공간들이 조금씩은 있을 수 있다라는 가능성. 그 가능성을 보시는 거군요?
◆ 이종인> 기본적으로 있기 때문에 또 배가 앞이 떠 있는 거고.
◇ 김현정> 얼마나 그 공기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까, 물속에서 최대한 잡는다면?
◆ 이종인> 최대한 잡는다면 공기 남아 있는 거야 끝까지 남아 있죠. 그런데 이제 사람이 거기 있을 경우 숨을 쉰다는 것은 거기 있는 산소를 소모하는 건데.
◇ 김현정> 그러니까요.
◆ 이종인> 그래서 우리 구조대에서 얘기가 공기를 산소를 공급할 예정이다 그런 채비를 한다고 그러는데 그런 어떤 공간이 있는 살아 있는 징후가 보이는데 신호로 해서. 그런 반응이 오는 데를 신속히 찾아가서 거기다 공급을 해야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이제 구조작업이 얼마나 빨리 벌어지느냐, 그 부분이 가장 중요할 것 같아서요. 이종인 대표님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종인> 감사합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