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실종기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수중 신호를 탐지했다고 밝혔을 때만해도 각국은 중국의 기술력에 놀라움을 표했지만 결국 근거없는 것으로 밝혀지자 중국이 수색역량을 과장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후 수색 과정에서 중국이 제시한 '단서'가 연거푸 '근거없음'으로 드러나자 미국 등 각국의 수색작업에 혼선이 일거나 지연되는 일까지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 수색팀 내에서는 중국이 기술력과 수색역량을 의도적으로 과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누구나 실종기를 찾고 싶어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잘못된 단서는 수색작업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중국이 이번 수색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우선 실종기 탑승객 대부분이 중국인이라는 점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달 8일 여객기가 실종된 이후 정찰기는 물론 10여척의 함정, 21대의 위성을 동원해 광범위한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중국이 대규모로 장비를 동원해 수색작업을 벌이는 이면에는 자국민에게 수색작업에 대한 의지는 물론 기술력을 과시할 수 있는 계산이 작용한 것 같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게다가 지난해 필리핀에서 태풍 하이난으로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중국이 소극적으로 대처한데 따른 비판 여론을 이번 기회에 불식하겠다는 의도도 깔려있다.
제프 킹스턴 템플대학교 도쿄 분교의 아시아학 소장은 "중국은 이번 수색작업이 '초강대국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했을 것"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상황은 중국의 심산대로 전개되지 않았다.
중국은 여객기가 실종된 첫 주 실종기 잔해라며 위성사진을 공개했지만 결국 무관한 것임이 드러났다.
중국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말레이시아 정부 등을 중심으로 '수색작업을 지연시켰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이어 이달 5일에는 중국의 관영 신화통신은 실종기로부터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수중 신호를 두 차례나 탐지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해군 병사가 수중청음기로 신호를 탐지하는 사진까지 공개했다.
하지만 이 수중청음기는 수심이 낮은 지역에서나 사용하는 수준 낮은 장비여서 신호 탐지 보도에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홍콩 소재 중국대학의 중국 전략·정책 전문가인 윌리 램은 "중국 정부는 이번 수색작업에 국가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최고의 수색장비를 동원했다고 주장해왔다"면서 그러나 실제 드러난 장비와 기술력은 그에 미치지 못해 놀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말레이시아 정부도 "중국의 수색작업은 '참으로 도움이 된다'"고 냉소적인 평가를 내렸다.
가뜩이나 중국이 주변국들과 영토문제로 분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광범위한 지역을 넘나들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데 대해 주변국들은 더욱 불편한 심기를 느끼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