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박광온 대변인과 새정치연합 금태섭 대변인은 5일 오후 양측 지도부가 합의한 이 같은 지도체제를 발표했다.
이들은 다만 "신당 지도부의 임기와 정수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 없다"며 "앞으로 당헌당규위원회에서 논의할 문제"라고 밝혔다.
양측은 아울러 통합 논의 초반 갈등을 빚은 제3지대 신당 창당 방식은 이르면 6일 결정하기로 했다.
“통합신당의 정강정책 등에 새정치연합 측의 구상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합의에 따라 ‘당의 그릇을 만드는 일’, 즉 통합 방식은 민주당이 주장한 당대당 합당으로 결론날 가능성이 커졌다.
애초부터 제3지대 신당 창당을 통한 합당이라는 큰 그림에는 양측 모두 동의했다. 정당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새정치연합 인사들은 통합신당이 세워지면 바로 합류하면 된다. 민주당에서도 신당추진단과 창당발기인을 중심으로 일부 인사들이 순차적으로 당을 갈아탈 예정이다.
문제는 민주당의 합류 방식이었다. 민주당은 2007년 야권을 재편한 대통합민주신당 모델을 내세우고 있다. 신당을 띄운 뒤 당과 당이 통합하는 방식이다. 당시 열린우리당 김한길 전 원내대표는 선도탈당과 합당, 합류 등 복잡한 경로를 거쳐 당대당 통합을 이뤄냈다.
반면 새정치연합 측은 새정치를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며 기존 정당의 합당이 아니라 ‘해산 후 합류’에 무게를 실었다.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은 5일에도 부산에서 “합당이 아니다. 제3지대에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것”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측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주장했다. 해산을 하게 되면 당장 경상보조금과 선거보조금을 합쳐 올 한해에만 55억원 이상의 손해를 보게 된다. 재산도 처분해야 되는데 지난해 말 기준 127억원에 이른다. 게다가 당원들이 일일이 당을 옮기다 보면 조직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처럼 합당 방식을 두고 양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창당 과정을 총괄하는 양측의 신당추진단은 이날 3차 회의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제3지대 신당 창당 방식을 결정하기로 했다.
오전에만 해도 “회의를 다시 생각해 봐야할 것 같다. 그럴 일이 있다”며 불만을 드러낸 새정치연합 김효석 공동위원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당 그릇을 만드는 일과 내용을 채우는 게 있는데 내용을 채우는 부분은 새정치연합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합의를 했다”고 말했다.
통합신당의 정강정책과 당헌 등에 새정치의 구상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내용인데 당의 그릇을 만드는 일, 즉 신당 창당 방식은 민주당에 다소 양보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양측은 이르면 6일 각자 내부 논의를 거쳐 신당 창당 방식과 비전ㆍ정강정책ㆍ당헌당규위원회 등의 인선결과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양측은 신당의 지도체제와 창당 방식 등을 두고 5일 낮까지 신경전을 벌였으나, 이견이 지속될 경우 '새정치'의 기치가 퇴색되고 통합 신당 컨벤션 효과에 흠집이 날 것을 우려해 논란을 조기에 봉합하는 쪽으로 분위기를 잡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