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권 분열땐 지방선거 백전백패
- 김상곤, 야권의 소중한 자산으로 연대
- 연대, 김한길과 안철수 지도력에 달려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정동영 민주당 상임고문
앞서 새정치연합 얘기를 들어봤는데요. 일각에서는 새정치연합의 이 기초공천 폐지발표가 민주당과의 정책연대를 탈피하려는 것 아니냐 즉 야권연대 하고 싶지 않아서 그런 거 아니냐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야권연대의 강하게 주장했던 분의 의견 들어보죠. 민주당 정동영 상임고문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정 상임고문님 안녕하세요?
◆ 정동영> 안녕하세요?
◇ 김현정> 우선 새정치연합이 우리라도 기초선거에 공천폐지하고 가겠다 선언했는데 이거 어떻게 보셨어요?
◆ 정동영> 나름대로는 신뢰를 지키기 위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민주당은 그럼 어떻게 가는 겁니까, 그냥 공천하는 겁니까. 어떻게 된 건가요?
◆ 정동영> 저는 개인적으로 기초공천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세 가지 이유가 있죠. 법을 바꿔야 공천폐지가 되는 건데요. 여당이, 다수 여당이 반대하는 법을 바꿀 수 없습니다.
◇ 김현정> 법을 바꿔야 된다는 얘기는 그러니까 탈당하지 않고 할 수 있는 이런 식의 방법을 택해야 되는데 지금 법 하에서는 다 탈당을 해야 나갈 수 있는 이런 상황이요?
◆ 정동영> 그러니까 공천폐지를 하려면 법을 바꿔야 되는 건데 현재 법으로는 정당공천 하게 되어 있지 않습니까? 아까 말씀한 대로 공천을 안 하게 되면 이제 탈당사태를 초래하게 되는 거고요. 첫째가 공천제가 유지되는 한 법치주의 원칙이라는 것에 따를 수밖에 없는 거고 두 번째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로도, 물론 대중은 공천폐지가 다수입니다만 한 번 더 생각해보면 정당정치의 발전을 위해서 풀뿌리 자체에 대한 정당공천은 원리에 맞습니다. 그리고 또 세 번째는 지방자치는 사실 민주당의 유산입니다. 김대중 총재 시절, 야당시절 단식투쟁을 통해서 기초 자치를 관철을 했거든요. 그런 계승자로서 민주당이 물론 대선국면에서 이것은 저는 대중 영합적인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럼 그때 그 공약자체도 잘못됐다고 개인적으로 보시는 거군요?
◆ 정동영> 원리에서는 벗어난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입장을 가져왔습니다. 쭉.
◇ 김현정> 하지만 지금 어쨌든 공약을 했던 거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반대하는 의원들은 있었겠지만 당 차원의 공약은하지 않았느냐. 따라서 지금 법을, 선거법을 바꾸지 않는다면 다수당이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라도 희생 감수하면서 우리라도 하겠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얘기인데요.
◆ 정동영> 민주당이 곤혹스러운 건 사실입니다마는 그러나 정작 이 문제의 핵심은 박근혜 대통령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표를 위해서 기초공천 폐지를 여야 후보가 똑같이 약속을 했습니다만 결국 이것을 뒤집은 당사자는 대통령입니다. 그러니까 이 문제에 대해서 핵심적인 책임 사안은 새누리당과 박근혜 대통령이고 그러면 법을 바꾸지 않은 상황에서 기초공천폐지라는 것이 그렇게 국민의 입장에서 사활적인 문제인가, 지금 당면한 현안으로써라는 점에서 저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방선거 전체가 탈당이냐 아니냐, 공천이냐 아니냐로 본질이 희석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을 돕는 결과가 되죠.
◇ 김현정> 새누리당에 어부지리 주는 일이 될 거다, 이런 말씀. 그러면 지금 새정치연합이 괜히 민주당 흔들기 하는 거 아니냐 이런 생각도 하시는 거예요?
◆ 정동영>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새정치연합으로서는 나름대로 고민을 했을 거라, 신뢰를 지킨다는 측면일 것이라 생각하고. 또 하나는 창당도 빠듯한데 현실적으로는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자치단체장만 227명이나 되고요. 기초의원은 무려 한 3천 명 가까이 됩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인물난도 좀 있을 거라는 생각도 하기는 하시는 거군요?
◆ 정동영> 창당하기도 빠듯하지 않겠습니까?
◇ 김현정> 이제 기초 의원이나 기초단체장 자리를 놓고 민주당하고 안철수 신당하고 다툴 일은 없어졌습니다만 더 큰 선거인 광역단체장은 안철수 신당, 그러니까 새정치연합에서도 후보를 내지 않겠습니까? 기초 쪽도 안 내기로 했는데. 그러면 신당이 몇 군데 안 되는 곳에서 후보 내면 민주당이 양보하기는 더 쉽지 않을 거고 결국 연대 가능성은 더 낮아진 거 아닌가요?
◆ 정동영> 저는 연대는 ‘가능성’이 아니라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이 박근혜 정부 1주년 아닙니까? 결국 이번 지방선거가 박근혜 정부 지난 1년의 국정방향을 바꿔내느냐 아니면 더 강화시키느냐의 갈림길이 될 텐데요. 결국 그것은 지도력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연대문제는.
◇ 김현정> 지도력이 핵심이다. 그건 무슨 말씀이실까요?
◆ 정동영> 그러니까 현실적으로 민주당 지도부와 안철수 의원 신당의 지도부가 이번 지방선거의 본질을 제대로 꿰뚫고 그리고 국민의 기대에 충족하기 위해서는 저는 연대 없이 승리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역대 선거에서, 동서양 선거에서 한쪽은 하나가 나오고 다른 쪽은 상대방은 둘, 셋으로 나뉘면 이길 수가 없는 건 상식 아닙니까?
◇ 김현정> 불가능. 그러니까 따로 나오면 100전 100패라고 보시는 거군요.
◆ 정동영> 그렇죠. 그건 이길 수가 없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 김현정> 그렇게까지. 광역단체장 선거, 그 중에서도 경기도 지사를 놓고 꼭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 이렇게 얘기하셨네요?
◆ 정동영> 경기도지사 문제는 도지사 자리를 누가 하느냐 하는 자리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방선거의 판을 좌우합니다. 경기도지사 선거를 야권이 승리하면 서울도 이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를 놓치면 서울도 위험하고 전체 판을 놓치게 됩니다. 전체 판을 놓치게 되면 박근혜 정부의 지난 1년의 폭주와 불통은 계속 될 것입니다. 이것은 국민에게 불행한 일이기 때문에 반드시 연대를 통해서 여권을 견제해야 하는 거죠. 경기도를 이기려면 연대 없이는 못 이깁니다.
◇ 김현정> 경기도 지사가 그 정도로 중요한가요? 서울시장이 전체 판 좌지우지 한다 이런 얘기는 우리가 많이 들어봤습니다만.
◆ 정동영> 그게 서로 연결되어 있죠. 경기와 서울은 한 선거구라고 볼 수 있죠.
◇ 김현정> 그래서 중요하다. 지금 새정치연합 측이 김상곤 교육감을 영입하려고 공을 많이 들이고 있지 않습니까? 어떻게 해야 된다고 보시는 건가요?
◆ 정동영> 김상곤 교육감이 아마도 안철수 의원 신당에서 입당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제가 아는 김상곤 교육감은 정당에 입당할 처지가 못 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일단 곧 입장을 밝힌다고 하니 지켜봐야겠죠. 그런데 이제 김상곤 교육감 입장에서도 사실 교육감 승리는 사실상 보장된 거나 마찬가지죠. 그런데 지난 1년 이 정부에 실망하고 답답한 국민을 위해서 몸을 던지는 셈인데 김 교육감이 그런 선택을 한다면 대의를 위해서 결단하는 거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럼 김상곤 교육감님을 어떤 당 소속으로 놓지 않고 양쪽이 연대해서 추대해야 된다 이런 생각하시는 건가요?
◆ 정동영> 여러 가지 모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민주당의 경선의 후보가 되기 위해서 열심히 뛴 후보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민주당으로선 어려움이 있죠. 그런데 금방 말씀처럼 경기도 지사 자리를 누구 하느냐 차원을 넘어서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큰 틀에서 예를 들면 박원순 시장 때 민주당 후보는 후보대로 있었습니다. 그런데 또 단일화해서 시민사회와 범야권이 지지해서 승리했듯이 여러 가지 모델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러면 김상곤 교육감을 새정치연합의 후보로 내고 민주당 후보들이 양보하는 이런 식을 생각을 하시는 거예요?
◆ 정동영> 아마 그건 현실적으로 무리가 될 것입니다. 첫째, 김상곤 교육감은 어느 당에도 입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이 확고합니다. 그리고 또 본인의 입장으로서는 옳다고 생각합니다. 교육감이 될 때 민주당의 지지와 지원을 받아서 됐기 때문에 안철수 신당으로 가는 것은 그런 점에서 무리가 있을 것이고 또 교육 혁신과 교육계에 대한 사명을 생각하면 지금 교육감 자리를 버리고 도지사 출마를 위해서 어느 정당에 입당하는 것도 또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또 금방 말씀한 대의를 위해서 결단한다는, 몸을 던진다는 차원에서 요구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보면 일단은 지금 교육감 사퇴 시한이 3월 초로 임박했기 때문에 그런 대의를 위한 결단이 선행돼야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김현정> 말씀 듣고 보니까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요. 정당 소속이 아니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되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공동 후보로 추대하는 방식 이걸 생각하시는 거예요, 아니면 새정치연합으로 들어가서 우리가 같이 밀어주자 이걸 생각하시는 거예요?
◆ 정동영> 새정치연합이든 민주당이든 김상곤 교육감은 입당하지는 않을 겁니다.
◇ 김현정> 않을 것은 확실하다.
◆ 정동영> 그러나 국민적 요구는 김상곤 교육감도 여기에 뛰어들려고 하는 요구가 분명히 있습니다. 거기에 이제 먼저 대답을 해야 되는 거죠, 김 교육감이. 그리고 나서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방법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박원순 시장 때 모델도 있는 것이고 어쨌든 단일화해서 야권후보를 하나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겠죠.
◇ 김현정> 그야말로 통큰 연대, 야권, 시민단체 다 아우르는 통큰 연대 이런 거 생각하시는 거군요. 알겠습니다. 김상곤 교육감이 이런 거 원하고 있을까요?
◆ 정동영> 이미 언급했습니다만, 교육감은 사실상 보장된 상태인데 몸을 던지는 이유가 도지사 자리 때문이 아니라는 거죠. 뭔가 힘을 합칠 수 있는 사람은 다 결단을 해서 경기도 지사 선거를 지방선거의 태풍의 핵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서울시장 선거를 이길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고 또 지방선거 전체 판을 좌우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서울시장도 그런 식으로 그렇게 나와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혹시?
◆ 정동영> 서울시장 선거도 야권 후보가 여럿이면 둘, 셋 이렇게 되면 이건 필패하는 거죠. 과거에 경험이 있지 않습니까? 노회찬 후보가 나왔을 때 3% 득표에 그쳤습니다만 결국 (야권의) 0.8% 차이로 패배를 불러왔죠. 한명숙 후보 측의... 그렇기 때문에 서울시장 후보도 어떤 경우에도 야권단일 후보로 출마해야 하는 거고 경기도지사 후보도 1대 1로 붙어서 승리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과연 이 부분이 설득이 될까요, 새정치연합에?
◆ 정동영> 바로 이것이 지도력이라는 것이죠. 안철수 의원의 지도력, 김한길 대표의 지도력에 의해서 발휘돼야 하는 것입니다.
◇ 김현정> 될 거라고 보십니까?
◆ 정동영> 저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만큼 그렇게 만들어야죠.
◇ 김현정> 빨리 만나셔야겠네요, 두 분이.
◆ 정동영> 지난번에도 한번 만나셨는데 계속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협력해야 하죠. 그러니까 경쟁할 것은 경쟁하고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겠습니다. 상임고문님 고맙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