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의장은 말 한마디로 세계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자리인데다 특히 최근에는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등으로 신흥국 위기가 부각되고 있어 옐런 신임 의장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옐런 의장이 임기 초기에 직면할 가장 큰 과제로 금리 인상 시기 결정과 실업률을 꼽았다.
금리를 너무 늦게 올리면 금융시장에 거품이 형성되고 물가 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금리를 너무 빨리 인상하면 회복이 시작된 미국 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
연준은 금리와 관련해 실업률이 6.5%까지 떨어질 때까지는 현재의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공언해왔다.
문제는 지난해 12월 실업률이 6.7%로 내려가면서 연준의 목표치에 근접했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주에 발표될 미국의 1월 실업률이 6.6%로 떨어졌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실업률이 연준의 목표치에 근접해도 금리 인상이 곧바로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실업률이 6.5%로 내려가더라도 당장 금리 인상에는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이미 밝혔다. 양적완화 규모는 계속 줄이겠지만 금리는 당분간 초저금리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연준의 이런 정책 배경에는 미국의 고용 상황이 실업률 하락 수치만큼 좋지 않다는 점이 작용한다.
과거 연준에서 조사 담당 부서의 책임자로 일했던 데이비드 스탁턴은 "미국의 노동시장이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하나의 숫자로 요약하기가 어렵다"며 하락한 실업률에 구조적 문제가 내재돼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최근의 미국 실업률 하락은 취업자 증가보다는 실업률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구직 포기자가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이 더 크다.
WSJ는 시간제 일자리에 종사하지만 정규직 전환을 희망하는 근로자가 800만 명에 달하고 일자리를 원하지만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240만 명에 이른다면서 이들을 포함한 실업률은 13.1%로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실업률 하락이 급여 인상이나 물가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옐런 의장은 지난해 11월 의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임금 수준이 최근 몇년간 소폭 인상되는 데 그쳤거나 실질적으로 올라가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