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산가족 상봉 지연 속셈은?

군사적 적대행위 중단 부각시키려

(사진=윤성호 기자/자료사진)
북한이 2월 중순 이산가족상봉 제의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29일 오후 판문점 연락관 마감통화에서도 북한은 별다른 언급 없이 철수했다.

이는 상봉 시기가 마땅치 않거나, 남측의 제의를 받아주더라도 반대급부를 노린 것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정부가 제안한 상봉 시기는 2월 17~22일로, 김정일 위원장 생일(2.16)이 지나고, 다음달 말경에 진행되는 한미합동군사연습이 시작되기 전이다.

남측이 제안한 상봉시기는 북한이 중점을 두고 있는 한미연합군사연습 문제를 부각시키는 데 적절치 않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미 정부는 올해 한미합동군사연습을 예정대로 실시하되, 지난해 동원됐던 핵 추진 잠수함이나 북한을 떨게 한 B-52 전략 폭격기 등을 제외할 예정이다. 북한이 중대제안을 한 이후 보인 반응이다.

북한은 한미합동군사연습 중단을 압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활용하려는 속셈이 있을 수 있다. 이 군사연습 이후로 이산가족 상봉을 할 경우 그 압박 효과는 커진다.

북한이 28일 우리의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에 대해 반발을 한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북한은 우리측에 전통문을 보내 '해상사격을 중단하라, 엄중한 책임이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지난 16일 중대제안에서 "서해 5개섬 열점지역을 포함해 지상,해상, 공중에서 상대방을 자극하는 모든 행위를 전면 중지할 것을 특별히 강조해 제안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의 전제 조건은 '군사적 적대행위의 전면중지'에 있다. 북한은 24일 남측에 보낸 공개서한에서 "군사적 적대행위를 전면중지하는 것과 함께 흩어진 가족, 친척들의 상봉도 마련하고 금강산관광도 재개하면 여러가지 북남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것이 우리의 결심이다"고 밝혔다.

북한의 입장에서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들어줄 때 들어주더라도, 한미합동군사연습, 서해 군사훈련 등 모든 군사적 적대행위 중단을 최대한 부각시키고자 하는 속셈이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