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행정부 고위 관리는 이날 "이란은 시리아의 과도정부 구성을 요구한 이른바 '제네바-1' 회담 합의문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엔이 이란에 대한 (제네바-2 회담) 참여 요청을 철회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관리는 이란이 회담의 목적을 전적이고 공식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한 제네바-2 회담에 참가할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는 22일부터 스위스 몽트뢰와 제네바에서 시리아 과도정부 구성 이행안 등 정치적 해법을 논의할 제네바-2 회담을 열 예정이지만, 회담 개최를 불과 사흘 앞두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논란의 대상인 이란의 참여를 전격 발표해 서방국가들이 반발하고 있다.
앞서 반 총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이번 제네바-2 회담에 참석하기로 예정된 20개국외에 이란 등 10개국을 `연관국'으로 인정해 추가로 회담에 참석해달라고 초청했다. 연관국에는 한국도 포함됐다.
반 총장이 추가 10개국에 이란을 포함시킨 것은 러시아 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는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이란이 자국민까지 동원해 시리아 사태에 개입, 사태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면서 제네바-2 회담에 이란이 참여하는데 대해 미국이 극력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만약 이란이 유엔측의 방침대로 제네바-2 회담에 참여하게 되면 국제사회가 시리아 정부에 대해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하는지를 놓고 회담 참석국간 극심한 대립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미국은 이란이 제네바-1 회담의 과도정부 구성안을 수용하지 않아 이번 회담에 참여할 수 없고 '참관국'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도 전날 반 총장 발표 직후 성명을 내고 "이란이 '제네바-1 합의안'의 완전한 이행을 명시적이고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조건에서 초청이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란은 한 번도 공개적으로 이를 밝힌 적이 없다"고 반발했다.
앞서 시리아 반군을 지원해온 사우디아라비아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무력 지원해온 이란이 시리아의 과도정부 구성이나 정권 이양을 지지하지 않는 한 제네바-2 회담에 참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사우디 국영 뉴스 통신 SPA는 "이란이 과도정부 구성에 대한 동의를 공식적이고 공공연하게 표명하지 않았기에 국제 평화회담에 참가할 자격이 없다"는 사우디 정부의 공식 입장을 전했다.
시리아 반군도 오랜 내분 끝에 지난 18일 제네바-2 회담 참여를 결정해 내전 이후 처음으로 알아사드 정권과 협상 테이블에 앉을 예정이었으나 이란이 참여하면 불참하겠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