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플로리다 스테이트 대학(FSU) 과학자들은 결혼 6개월 미만의 신혼부부 135쌍을 대상으로 첫 설문 조사를 하고 이후 4년간 6개월마다 후속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처음 결혼에 관해 말로 표현한 느낌은 실제 결혼 생활 만족도와 관계가 없는 반면 상대방에 대한 무의식적인 반응이 훗날 만족도와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사이언스지에 발표됐다.
연구진은 "신혼부부들은 대체로 말로 표현하기를 꺼리거나 표현하지 못하지만 이들이 상대방에 대해 보이는 자동적인 평가는 장차 결혼생활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중요한 두 가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는 이들이 결혼생활에 대해 구두로 표현하는 느낌, 즉 의식적인 태도는 이들의 무의식적인 느낌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로 장기간에 걸친 이들의 행복도를 예측하는 것은 의식적인 태도가 아니라 무의식적인 반응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누구나 결혼생활이 행복하기를 원하며 결혼 초기에는 많은 사람이 이를 의식적인 수준에서 스스로에게 확인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적인 반응, 즉 무의식적인 반응은 사람들이 믿고 싶어하는 바에 영향을 덜 받는다. 사람들은 많은 희망적인 생각을 갖고 있지만 그것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일어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관계 만족도와 특정한 관계 문제의 심각성을 질문하고 결혼생활에 대한 의식적인 평가를 내리도록 했다. 평가 방식은 '좋다' '나쁘다', 또는 '만족스럽다' '불만족스럽다' 등 상반되는 형용사 15쌍에서 하나씩을 고르는 것이다.
그러나 가장 흥미로운 연구 결과는 신혼부부들의 직감적인 반응, 즉 반사적인 태도를 조사한 것이었다.
연구진은 피실험자들에게 배우자의 사진을 컴퓨터 화면으로 0.3초 정도 휙 보여줬다. 이어 'awesome'(멋져), 'terrific'(대단해) 등 긍정적인 형용사와 'awful'(괴상해), 'terrible'(끔찍해) 등 부정적인 형용사들을 제시하고 키보드를 눌러 이들 단어가 긍정적인 것인지, 부정적인 것인지 답하도록 했다.
이는 쉬운 작업이지만 배우자의 사진을 휙 보여주면 상대에 대한 자동적인 태도에 따라 그 다음 문제에 대한 반응 속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대방에 대해 매우 긍적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은 '멋져' 같은 단어가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음을 재빨리 지적하지만 '괴상해' 같은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음을 지적하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는 긍정적인 무의식적 태도가 이와 일치하는 인지 과정을 용이하게 만드는 반면 일치하지 않는 인지 과정은 방해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긍정적인 무의식적 태도를 갖고 있는 사람은 긍정적인 단어를 매우 잘 처리하지만 그런 긍정적 태도가 활성화했을 때는 부정적인 단어를 잘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는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배우자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사람이 상대의 사진에 잠시 노출됐을 때 이들은 긍정적인 단어를 처리하기 위해 태도를 바꾸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식적인 반응과 무의식적인 반응에 대한 조사는 실험을 시작할 때 단 한 차례만 실시됐고 연구진은 이후 6개월마다 피실험자들에게 관계 만족도를 말해 주도록 요구했다.
그 결과 무의식 반응 실험에서 자기도 모르게 부정적이거나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던 사람들은 4년 후 결혼 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의 직감에 조금 더 귀를 기울였으면 좋겠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뱃속의 소리를 알아차린다면 전문적 상담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