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국정원 트윗글 121만여건 모두 위법소지"(종합)

트위터 글 2만7천여 건 118만 차례 리트윗…"선거에선 전파도 굉장히 중요"

검찰은 국가정보원이 지난해 대선과 총선 과정에서 정치·선거에 개입하기 위해 트위터에 올린 글 121만여개를 새롭게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검찰은 이들이 모두 공직선거법과 국정원법 등을 위반한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121만여 건은 원래 글 2만6천550건이 자동 복사·전파 프로그램 등을 통해 트윗, 리트윗, 동시 트윗 등의 형태로 유포됐다.

국가정보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정회 부장검사)은 이날 오전 이 같은 내용의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검찰에 따르면 국정원 직원들이 트위터에 올린 글 121만여건은 선거 관련 글 64만7천여건, 정치 관련 글 56만2천여건이다.

국정원 직원들은 먼저 각자가 운영하는 트위터 계정에 직접 글을 쓰거나 보도된 기사 및 다른 사람이 작성한 게시물을 리트윗하는 방식으로 모두 2만6550건의 게시물을 트위터 계정에 올렸다.

직원들이 트위터 계정에 올린 원 게시물은 선거 관련 글이 1만3천292건, 정치관련 글은 1만3천258건으로 집계됐다.

직원들은 이렇게 올린 선거 관련 글을 트위터 자동 유포 프로그램인 봇 프로그램(자동 대량 유포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118만여 차례 리트윗하는 방식으로 퍼뜨렸다.

121만228개 글 중 봇 프로그램 등을 통해 2개 이상 동시에 리트윗된 글은 모두 104만2116개로 집계됐다.


선거 관련 글 64만7443건 중 85.9%인 55만6377건의 글이 봇 프로그램 등을 통해 동시 리트윗되는 방식으로 트위터 계정을 타고 전파된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 관련 글 56만2785건 중 48만5739건이 역시 트위터글 자동 대량 유통 프로그램을 통해 트위터 상에 퍼져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선거에서는 전파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선거·정치 관련 글을 작성했다는 것뿐만 아니라) 퍼 나른 것도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선거법 위반 대상이 된 국정원 직원들의 게시글이 적고, 댓글 및 트위터 작업을 벌인 국정원 직원들의 숫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새누리당 등 일부의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수사팀을 지휘·감독하고 있는 이진한 2차장검사도 "이번에 추가된 트위터 글은 증거 관계를 여러 단계로 검토해 확정된 증거만을 추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수사 과정에서 검찰은 빅데이터 분석 전문 IT업체에 의뢰해 지난 2년간 트위터 이용자들의 글 2천만 건을 모두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확보한 트위터 글과 계정을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트위터 계정과 대조하면서 관련성을 추적,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다.

검찰은 미국 사법공조와 관련, "트위터 본사에 요청한 트위터 계정 숫자 등에 대한 사법공조 결과가 회신되면 향후 공소유지에 증거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 같은 내용을 담아 지난 20일 오후 서울중앙지법에 원세훈 전 국정원장에 대한 공소장 변경 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2차 공소장 변경 신청 과정에서 검찰은 지난달 18일 법원에 1차 공소장 변경을 신청한 국정원 트위터 댓글 5만5천689건 가운데 2만7천여 건에 대해서는 국정원 직원이나 조력자가 작성했다고 보기 어려워 입증 문제 등을 이유로 공소사실 및 증거목록에서 철회했다고 밝혔다.

2차 공소장 변경 신청과 관련해 수사팀과 지휘라인 간 갈등이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이진한 2차장검사는 "수사팀이 격론을 벌이고 각자 의견을 내도록 해 마음껏 얘기하게 했다"며 "공소장변경 신청을 안받아주면 어떻게 하려고 안받아주겠냐"며 불거진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국정원은 “2차 공소장 변경을 신청한 121만건의 트위터 글은 국정원 직원이 쓴 것인지 확인되지 않았다”며 “국정원 직원이 직접 쓴 것으로 확인되는 일부 트위터 글도 북한의 트위터를 이용한 대남선동에 대응해 방어심리전을 버리는 과정에서 올린 글”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