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은 4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이 초안을 만들었는데 기록을 위해 배석했던 조명균 전 안보정책비서관이 보니 완전하지 않은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틀린 것을 수정하고 최종본을 만들었다”면서 “그럼 앞에 있는 것은(초안) 기록물로서 가치가 없는 것 아니냐고 본 것이다. 상식이 아니냐”고 김 본부장은 덧붙였다.
회담에 배석하지 않았던 국정원 측에서 음성파일만 가지고 녹취록을 만들다보니 회담에 배석했던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국정원장, 백종천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등의 발언과 이름을 맞게 연결하지 못해 조명균 비서관이 수정을 했고, 그게 완성본이라는 설명이다.
이른바 ‘봉하 이지원’으로 불리는 이지원 사본에서 삭제된 대화록이 초안이냐 완성본이냐 하는 판단은 문제의 대화록을 대통령기록물로 볼 수 있느냐를 가늠할 민감한 문제다.
김 본부장은 또 문제가 불거졌던 지난 2008년 3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했던 사실을 밝히면서 “(노 전 대통령이) ‘열람을 위해 한 부를 가져왔고 온라인열람권이 보장되는 즉시 반환하겠다’는 약속을 했고, 이 전 대통령은 대체적으로 양해하는 듯했다”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그 뒤에 갑자기 유출했다는 식으로 언론보도가 되면서 무리한 요구와 범죄자를 다루는 듯한 국가기록원의 태도 때문에 아예 반납해버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당시 반환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여전히 국가기록원에는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 아니냐는 취지로 한 기자가 질문하자 “가정을 가지고 이야기하면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다만, “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금 집에서 열람하고 있다고 한다. 온라인으로 보고 있다”면서 “노 전 대통령도 언제든지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다면 반납하겠다고 했던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