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실은 최근 직지사가 훼손이 극심한 사천왕상과 그것을 보호하는 건물인 천왕각(天王閣)을 수리하기에 앞서 불교문화재연구소에 의뢰한 사천왕상에 대한 정밀학술조사 결과 드러났다.
이번 조사 결과 서방천왕상 내부에서 강희(康熙) 4년(1665)에 이 불교조각을 만들면서 그 내력을 적은 조성기(造成記)가 발견됐다.
나아가 그 내부에서는 '전라도 전주부 동쪽 종남산의 송광사에 거주하는 승려 화가들이 와서 이를 만들었다'는 내용의 문구와 함께 '전라도 전주의 송광사 화원들이 을사년 3월에 칠(혹은 진흙)을 발랐다'는 뜻을 지닌 문구가 적힌 여러 문서가 같이 발견됐다.
을사년은 1665년이다.
연구소는 이들 문서를 통해 "직지사 사천왕상이 1665년에 제작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작품 제작에 전라도 완주 송광사의 조각승이 참여한 사실을 알려준다"면서 "이는 호남의 조각승이 영남지역으로 진출해 불상을 제작한 과정을 알려 주는 것으로 조선후기 조각승들의 활동 영역을 비롯한 불교미술 연구의 폭을 확대시켜 줄 자료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또한 천왕상 머리 내부에서는 '北方天王'(북방천왕)과 '西方天王'(서방천왕)이라는 글자가 적힌 종이가 발견되고, 이들의 몸체 내부와 복장 마개에서는 동쪽과 동남쪽 방향을 의미하는 '東'(동)과 '東南'(동남)이라고 적은 묵글씨도 발견됐다.
이런 묵서 내용을 종합해 보면 지금의 직지사 소조 사천왕상 중에서도 비파를 타는 천왕(天王)은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이며, 칼을 쥔 천왕은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 용과 여의주를 든 천왕은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 탑을 든 천왕은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임을 알 수 있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연구소는 "이번 사천왕상 조사에서 사천왕이 차지하는 각 방위를 기록한 자료는 4개 천왕상 중에서 3구에서 확인됐다"면서 "이는 조선후기 사천왕상이 통일신라 사천왕상과는 다른 도상과 방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된다"고 말했다.
사천왕(四天王)은 불교의 삼보(三寶, 부처·부처의 가르침·승려)를 수호하는 대표적인 호법 방위신이라 해서 사찰 입구에 세운 천왕문(天王門)에 그 상을 만들어 불국토의 동·서·남·북을 방어하는 징표로 삼는다.
직지사는 이들 자료를 추후 진행할 소조 사천왕상 보수와 복장(腹藏) 재납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발굴 조사를 계기로 직지사 사천왕상에 대한 보물 지정 절차가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