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병' 결핵 환자 지난해만 4만명 발견…OECD 1위

'후진국병' 결핵 발생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작년에도 4만명 가까운 환자가 새로 보건당국에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국가결핵감시체계로 보고된 결핵 신규환자가 총 3만 9천 545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1년 3만 9천 557명과 비슷하고, 2010년의 3만 6천 305명에 비해선 3천명이나 많은 수준이다.


인구10만명 당 신규환자 발생률은 78.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최악을 유지했다.

남자가 2만 2천 705명이고 여자는 이보다 30%가량 적은 1만 6천 840명이다.

70대가 16.9%로 가장 많지만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50대(15.9%), 40대(14.4%), 20대(13.3%)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신규환자 가운데 폐결핵은 3만 1천 75명(78.6%)이며, 이 가운데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는 객담도말검사 양성 환자는 1만 2천 137명이나 됐다.

결핵치료제인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을 포함해 2개 이상 항결핵약제에 내성으로 신고된 '다제내성 환자'는 1천 212명으로 파악됐다.

이들 두 약물뿐만 아니라 퀴놀론계 항균제와 주사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광범위 다제내성 환자', 속칭 '슈퍼결핵'으로 보고된 환자는 229명이 새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결핵예방을 위해 평소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고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는 등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2주 이상 기침이 계속되면 인근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결핵검진을 받고, 기침이 나올 때는 옷소매나 휴지 등으로 입을 가리고 하는 '기침 에티켓'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