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5일 김기춘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에 대해 "실장님은 3부를 다 거쳤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당.정.청을 두루 하신 어른"이라고 극찬했다. 신임 비서실장의 무게감을 이보다 더 쉽게 체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임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을 전격 경질하고 '왕실장' 김기춘 비서실장을 임명한 이유는 뭘까? 또 황교안 법무부 장관(사법연수원 13기)과 채동욱 검찰총장(사법연수원 14기)보다 한참 윗기수인 홍경식 민정수석(연수원 8기)을 발탁한 배경은 뭘까?
검찰 안팎에서는 인사가 발표되자마자 "시어머니가 너무 많아 (검찰의) 처지가 아주 어렵게 됐다"라는 말이 나왔다.
김기춘 비서실장은 무려 21년 전에 법무장관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박 대통령이 비서실장 등 청와대 참모진을 대폭 개편한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꼬일대로 꼬인 정국 상황이 어디서부터 도래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의 답답한 정국 상황은 채동욱 검찰총장이 '국정원 정치·선거 개입 특별 수사팀'을 만들어 국정원의 선거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국정원의 선거개입 혐의를 인정함으로 국정원 개혁으로 이어졌으면 좋았겠지만, 국정원이 개혁을 거부하고 새누리당도 국정원을 일방적으로 역성들면서 외관상 정국은 새누리당 페이스대로 흘러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현 정국은 역설적으로 대통령의 리더십에도 큰 상처를 주고 있다.
새 정부 출범 뒤 다양한 '개혁조치'를 통해 정국을 주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야간 정쟁이 격화되면서 박 대통령의 통치력이 국민들의 가려운 곳을 제대로 긁어주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정국 상황을 다잡기 위해서는 입법부와 행정부 등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진 노련한 '실세 비서실장'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으로 보인다.
또 검찰을 '장악'은 아니더라도 일정부분 '통제'할 필요성도 느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측면에서 1988년에 검찰총장, 1991년에 법무장관을 역임한 김기춘 신임 비서실장의 임명은 매우 상징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홍경식 신임 민정수석도 채동욱 검찰총장보다 무려 6년이나 윗기수이다.
김기춘 실장과 홍경식 민정수석은 매우 원칙적이고 깐깐한 스타일이라는 한결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청와대가 꼼꼼히 챙겨 검찰을 상당부분 통제아래 두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검찰 관계자는 "홍 신임 민정수석의 경우 참여정부 시절 대검 공안부장 재식시 부하들을 상대로 한 '다면평가'에서 꼴지를 기록할 만큼 직원들에게 깐깐한 것으로 유명했다"며 "그러나 홍 수석의 장점은 절대로 원칙을 넘어서 개입하거나 관여하는 스타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 시절, 권재진 민정수석이 김준규 당시 검찰총장보다 윗기수였지만, 이번처럼 선후배 격차가 크게 나지는 않았다며 김기춘-홍경식-황교안 법무장관 라인이 전진 배치됨으로써 채동욱 검찰총장의 입지가 상당부분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에 대해 선거법 혐의로 기소하면서 청와대와 검찰간에는 대화가 단절된 채 냉기류가 흘렀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나는 국정원으로부터 선거 과정에서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고 강조하면서 곽상도 전 민정수석의 입지가 극도로 위축됐고 청와대와 검찰은 매우 불편한 상태를 유지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