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1,315명을 대상으로 ‘말썽꾼 직원으로 곤란을 겪은 경험’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87.8%가 ‘있다’라고 답했다.
말썽꾼 직원은 전체 직원 10명 중 1명(평균 10%)꼴로 ‘사원급’(41.4%)이 가장 많았다.
이어 ‘대리급’(27%), ‘과장급’(16%), ‘차장급’(6.4%), ‘부장급’(5.7%), ‘임원급’(3.4%) 순으로 직급이 낮을수록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이 일으키는 문제로는 ‘매사 불만 가득한 태도로 주위를 언짢게 함’(60.7%,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지나친 개인주의 행동으로 주위에 불쾌감을 준다’(41.2%), ‘업무능력 부족으로 각종 사고 발생’(41.2%), ‘잦은 지각, 복장불량 등 기강을 흐린다’(35.7%), ‘상사 말대꾸 등 무례한 행동’(34.7%), ‘다른 직원 뒷담화나 루머 형성’(33.1%), ‘업무절차 무시 등 독단적인 행동’(32%) 등이 있었다.
그렇다면, 말썽꾼 직원으로 인해 기업이 입은 손실은 무엇일까?
‘팀 등 조직 분위기 저하’(79.1%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조직 성과와 생산성 감소’(43.2%), ‘조직원 퇴사 등 이탈 초래’(42.9%), ‘내/외부적으로 기업 이미지 타격’(27.1%), ‘인사관련 업무 추진 타격’(18%), ‘매출 하락 등 경영상 타격’(16.6%) 등의 손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말썽을 일으킨 직원에 대해서는 ‘구두 경고’(51.1%), ‘수시로 면담해 관리’(34.4%), ‘퇴사 권고’(25.8%)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직원에 대해서는 무려 63.2%가 퇴사 처리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채용한 인재가 말썽꾼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까지는 평균 4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채용이 가장 후회되는 직원 유형으로는 ‘책임감 결여, 잦은 딴짓 등 태도불량형’(38%)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은 ‘업무 적응속도 느린 등 역량부족형’(14.2%), ‘상사에 대드는 등 인성미달형’(11.2%), ‘주위와 어울리지 않는 등 사회성결여형’(9.5%), ‘근태, 복장불량 등 기본자질 부족형’(9.4%)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