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참사, 안전 불감증에 '책임 떠넘기기'까지

서울 노량진 상수도관 수몰 참사는 전형적인 안전 불감증이 불러온 참사로 확인되고 있다.

여기에 서울시, 감리회사, 시공사 모두 책임을 '아래로' 떠넘기는 분위기가 역력해 볼썽사납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안전 매뉴얼에 따르면, 한강 수위가 높아지거나 장마 때 팔당댐 수위 변화가 생겼을 경우 공사를 즉시 중단하고 인력을 대피시키도록 돼 있다.

공사 관계자들은 이같은 매뉴얼을 1주일에 한번씩 교육하고 특히 비가 올 때는 자주한다고 밝혔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우선 공사 발주처인 서울시는 아무 이상 없다는 전화 통화만을 믿고 사고 당일 오전 공사 진행을 승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흘간 쏟아진 폭우와 팔당댐 방류에 대한 감안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막상 사고가 발생하자 서울시는 "이번 공사는 감리회사가 설계와 안전 전반을 책임지는 책임감리제 공사"라고 강조하며 관리 책임론에서 애써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였다.

공사 전반을 감독하는 감리회사는 '매뉴얼대로 움직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점검과 확인에는 소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감리를 맡은 (주)건화의 이명근 감리단장은 "12시쯤 현장에 갔을 때 역류할 수 있는 높이가 1m 이상 남아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인부들이) 빠져나온 것으로 알았다"고 했다.

작업 중단을 직접 지시하거나 인부들의 철수를 확인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는 사이 현장 인부들은 4시간 넘게 작업을 계속했다.

이후 한강의 수위는 급격히 상승했고 오후 4시 13분 공사를 진행하던 직원은 현장 범람 위기의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현장소장에게 전송했다.

그때서야 현장소장은 작업 중단을 지시했다고 했지만 문제는 전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이다.

박종휘 현장소장은 "(하청업체인) 동아지질 관리자에게 작업을 임시 중단하라고 지시했지만 (이 지시가) 현장의 근로자들에게 내려졌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나 정작 동아지질측은 철수하라는 연락을 받은 게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이번 참사는 발주처와 원청, 하청, 감리회사 전반에 걸친 안전 불감증이 불러온 참사로 결론나고 있다.

팔당 방류량이 급증하기 시작한 12시, 아니라면 현장에서 범람 위기를 알려온 4시쯤에라도 작업을 중단하고 인부들이 신속히 나왔더라면 수몰 참사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너무나 안타까운 참사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