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한 단계 낮으면 자녀의 수능등급은 0.03만큼 하락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철 연구위원은 6일, ''대학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에서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해당 보고서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10분위로 나눈 뒤, 자녀가 중2 때의 내신등급(9등급)-고3 시기 수능등급(9등급)간 격차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1분위 낮으면 0.03만큼의 등급하락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을 기준으로 나누면 서울시에 거주할 경우 0.20만큼의 등급상승 효과가 있지만 중소도시에 거주할 경우 0.19, 읍면지역에 거주할 경우 0.57만큼의 등급하락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 921명의 성적 등을 분석한 것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는 가구소득과 아버지의 학력 및 직업적 지위를 균등히 반영한 지표라고 김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과 지방간 진학 격차는 더욱 확대된 것으로도 나타났다.
2011년 수능시험 외국어영역 1등급 지역별 성취도를 살펴보면 서울은 전국평균 대비 135%이지만 6개 광역시는 90%에 그쳐 격차가 45%p 이상 벌어졌다.
2006년 당시 같은 분석에서 격차는 30%p가량이었지만 그 폭을 넓힌 것이다.
수리영역의 경우도 2011년 수능시험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 비율은 서울과 경기도에서 각각 5.0%와 3.9%인 반면 6개 광역시와 지방 8개 도의 경우 각각 3.5%와 3.4%에 머물렀다.
전국 평균대비 지역별 서울대 진학률을 보아도, 서울의 경우 2000년 155%에서 2011년 189%까지 치솟았지만 광역시의 경우 같은 기간 120%에서 85%로 내려앉았다.
이러한 불평등 경향은 서울 안에서도 확인돼, 서울지역 서울대 입학생 가운데 특목고와 강남3개 구 출신 비중은 2002년 56.2%에서 2011년 65.7%로 증가했다.
여기에 그외 상위 3개 구(양천,광진,강동)의 입학 비중까지 더하면 지난해 서울지역 서울대 입학생의 넷 중 셋(74.3%)은 특목고나 상위 6개 구 출신인 셈이다.
김영철 연구위원은 "지역간, 계층간 진학 격차가 확대되고 사회적 및 경제적 이동성이 악화되는 것은 사회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사회통합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사회의 복지비용을 증대시키고 인재양성 체계의 효율성을 훼손함으로써 국가경제의 경쟁력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교육기회의 형평성을 확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면서 △기회균형선발제의 안정적 정착 및 확대 노력 △대학별 기회형평성 관련 전형의 확대 △입학사정관제의 올바른 운영 △지역·계층간 격차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대처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