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화 광양시의원이 6일 행정사무감사에서 묻고 있다
광양시가 어린이집 급식 위생 강화를 위해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 ''급식 모니터단''을 운영하기로 하면서 운영 과정과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양시는 어린이집 급식 모니터단 예산 안으로 활동 실비 500만 원(애초 600만 원에서 줄임)을편성해 광양시의회에 제출했다.
급식 모니터단은 학부모와 보육 전문가·시민단체 등 2개반 10명(5인 1조)으로 꾸려 내년 초 교육을 거친 뒤 광양지역 128군데 공립·민간 어린이집을 찾아 3월부터 급식과 위생 실태 등을 확인하게 된다. 광양시가 이렇게 급식 모니터단 결성을 결정하기까지는 허정화 광양시의원의 역할이 컸다.
허 의원은 지난 10월 17일 제201회 광양시의회 임시회 시정 질문에서 어린이집 급식 위생에 대해 광양시 집행부를 추궁했고 광양시는 전체 어린이집 128군데 가운데 올해 정기 급식위생 점검을 마친 77군데에서 23군데를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적발해 유통기한 경과 식품 보관 어린이집 6군데의 경우 과태료 30만 원을 부과한 사실을 밝혔으나 적발한 어린이집 명단은 공개하지 않아 ''광양교육희망연대'' 등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샀다.
그러나 급식 모니터단 운영에는 과제도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허 의원은 6일 광양시의회 총무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공무원들이 점검해도 어린이집들이 꺼리기 때문에, 급식 모니터단에게는 매우 강력한 권한을 부여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허 의원은 또 "특정 관변단체보다 학부모 참여를 대폭 보장해야 하고 실적이 부진한 모니터단은 제외하며 모니터를 거부하는 어린이집에는 패널티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달막 광양시 사회복지과장은 "어린이집들이 거부하는 일이 없도록 교육하는 등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급식 모니터단 운영 기간도 연간 20일에 불과해 시간이 부족하면서 수박 겉핥기식이 될 우려도 있다.
광양시는 "올해 점검 결과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모니터를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어린이집 급식 모니터단은 내년부터 광양시와 순천시가 처음 운영하지만 여수시는 운영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