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만 더 부자됐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10년새 소득 55% 늘어 전체 70% 싹쓸이…하위 20%는 수입 절반 뚝

 

상위 20% 자영업자의 소득은 해마다 늘어나는 반면 하위 20%의 소득은 갈수록 줄고 있다.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상위 20%의 1인당 소득금액은 10년새 55%나 늘어난데 비해 하위 20% 소득자의 1인당 소득금액은 같은 기간 54% 급감했다.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상위 20% 소득자의 1인당 소득금액은 1999년 5800만원에서 2009년 9000만원으로 10년 새 55%나 늘어 대부분 억대 수입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하위 20% 소득자의 1인당 소득금액은 같은 기간 306만원에서 199만원으로 54% 급감했다.

종합소득세는 사업, 부동산임대, 이자 등 여러 소득을 합쳐 과세하는 세금으로, 자영업자 등 개인사업자가 신고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체 소득금액 중 계층별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외환위기 이후 소득의 양극화는 더욱 극명히 드러난다.

2009년 종합소득세 신고자의 총 소득금액은 90조2257억원으로 이 가운데 상위 20%가 가져간 소득금액은 64조4203억원으로 무려 71.4%에 달한다.

사실상 소득의 대부분을 ''싹쓸이''했다.

상위 20~40% 소득자의 소득금액은 13조5337억원으로 총 소득금액의 15%를 차지했다.

중간층인 상위 40~60% 소득자는 7.7%, 60~80%는 4.3%, 하위 20%는 1.6%의 소득 밖에 벌지 못했다.

결국 상위 20% 개인사업자가 총 소득의 3분의 2 이상을 거둬들인 반면 전체 신고자의 60%를 차지하는 상위 40% 이하는 고작 10%를 약간 넘는 소득 밖에 가져가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양극화 현상은 월급쟁이도 마찬가지다.

2009년 근로소득세를 납부한 연말정산자의 총 급여액은 315조7363억원인데 이 가운데 상위 20% 소득자의 급여액은 131조1652억원으로, 총 급여액의 41.6%를 차지했다.

상위 20%가 소득의 절반 가까이 가져간 셈이다.

반면 하위 20% 소득자의 급여액은 25조2242억원으로, 총 급여액의 8%에 불과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