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이창용 "금리인하·동결 모두 열어둬…해외 주식투자에 환율↑"(종합)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금리인하 종료 질문에 "개인들 판단"…"인상 논의 단계 아냐"
"고환율로 물가 높아질 우려…외환시장 불안 없어"
"해외 주식투자 늘어 환율 상승…쏠림 막아주면 빠르게 조정 가능성"
국민연금 '동원' 주장에 "그렇게 안봐…환헤지 등으로 수익성 확보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당분간 기준금리 인하와 동결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을 논의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현시점과 3개월 뒤 전망을 얘기할 때 금통위원 중 금리 인상 가능성을 논의하자고 한 분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또 "금통위원 6명 중 3명은 3개월 후 금리를 연 2.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라며 "나머지 3명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인하 의견이 1명 줄어 동결 의견과 같은 수가 됐다.
 
이 총재는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한 3명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우려도 증대된 만큼 당분간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또 "나머지 3명은 성장 경로의 상하방 위험이 있고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말했다.
 
금통위원 중 신성환 위원은 기준금리를 연 2.25%로 인하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인하 기조'를 '인하 가능성'으로, 추가 인하 '시기'를 '여부'로 각각 조정해, 향후 경제와 금융 상황에 따라 인하 기조를 종료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
 
이 총재는 이런 해석에 대해 "금리 동결에서 인상으로 가는 데 평균 12개월 정도 걸린다"며 "현재 금통위원이 3대3이고, 어떻게 해석할지는 여러분에 달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후반으로 상승한 것과 관련해 "최근 환율 변동성보다 너무 한 방향으로 쏠려가는 점이 우려된다"고 했다.
 
그는 "과거 외채가 많았을 때와 달리 시장에서 금융위기를 얘기하지 않는 것처럼 외환시장 불안은 없다"며 "대신 고환율로 인해 물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최근 환율이 상승한 원인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투자 확대를 들었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차 때문이 아니고, 단지 해외 주식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라며 "젊은 분들이 해외 투자를 많이 하는데, 환율이 변동될 때 위험 관리가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환율 상승이) 외국인에 의해 주도된 것이라면 변화가 어렵겠지만, 우리(내국인)의 쏠림을 막아주면 빠르게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정부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국민연금을 '동원'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그렇게 보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국민연금이) 해외로 돈을 많이 가져갈 때는 원화 가치 절하, 가지고 들어올 때는 절상이 발생한다"며 "연금 지급을 위해 해외 자산을 들여와 지급할 때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절하 국면에서는 원화 표시 수익률이 높아지지만, 장부상 수익률이 높다고 해서 노후 자산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환 헤지 등으로 수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과 국민연금 간 650억달러 규모의 외환스와프와 관련해선 "연장하는 것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