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광주시교육청, 교육공무직 총파업 총력 대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비상대응본부 구성…급식·돌봄·특수교육 등 분야별 대책 추진
돌봄교실 대체 프로그램 운영·특수학교 통학버스 지원 등

광주시교육청사 전경. 광주시교육청 제공광주시교육청사 전경. 광주시교육청 제공
광주시교육청은 오는 21일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으로 인한 학생, 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시교육청은 '교육공무직원 총파업 대응 대책'을 수립하고, 지난 14일 각급 학교에 안내했다.
 
특히 부교육감을 본부장으로 한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총파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학생·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고 학교현장의 업무 공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급식·늘봄·특수·유아교육 등 학생 생활과 안전에 직결되는 분야는 전담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적극 대응한다.
 
정상 급식이 어려운 학교는 대체 급식, 간편식 제공, 도시락 지참 등 학교 사정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했으며, 돌봄교실도 대체 프로그램을 활용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장애 학생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 특수학교 통학버스 승하차 지원, 유아교육 방과후 과정 탄력 운영 등도 추진한다.
 
또 교무실무사·과학실무사 등의 부재로 학교 운영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야별 업무대행 인력을 사전에 지정해 운영한다.
 
광주시교육청 노동정책과 관계자는 "학생 안전과 학습권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응 지원과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며 "임금교섭도 원만히 타결될 수 있도록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 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기본급 월 9만 880원 인상(교육공무직 2유형 기준), 근속 수당 인상 등을 요구하며 교육 당국과 4차 실무 교섭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 10월 16일 교섭이 결렬됐다. 이어 중앙노동위원회의 1, 2차 조정회의가 열렸지만, 같은 달 27일 조정마저 중지됐다. 이후 연대회의는 파업 찬반투표를 거쳐 노조원 91.8%의 파업 찬성으로 오는 21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때문에 학교 급식실 조리 실무사와 돌봄 전담사 등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학교 급식 제공 차질과 함께 돌봄교실 공백 등이 우려되고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