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연합뉴스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중일 간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일본 외무성 간부가 중국을 방문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언론은 가나이 마사아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7일부터 중국을 방문해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과 뒤이은 쉐젠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 소셜미디어(SNS) 글을 둘러싼 양국 간 대립의 진정을 모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가나이 국장은 18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시아국장을 만나 "다카이치 총리의 국회 답변이 기존 일본 정부의 입장을 바꾼 것은 아니라고 재차 설명하면서 사태 진정을 도모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다카이치 총리 발언에 대한 중국 반발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번 문제가 빠르게 수습될지 여부는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와 관련해 "전함을 사용해 무력행사를 수반한다면 존립위기 사태가 될 수 있는 경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존립위기 사태는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일본이 대만 유사시에 무력을 사용한 개입에 나설 수도 있다는 의미로 읽혔다.
이에 대해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지난 9일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내용의 글을 SNS에 올렸고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대만 문제에서 불장난해서는 안 된다. 불장난을 하는 자는 스스로 불에 타 죽을 것"이라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중국은 지난 14일 자국민에 일본 방문을 자제할 것을 권고해 일본 관광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실상의 실력 행사에 돌입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