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연금개혁특별위원회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투자의 관점으로 국가재정을 투입해 국민연금 기금 고갈을 막을 수 있다는 구상이 제시됐다.
민주당 연금개혁특위는 13일 '국민연금 세대간 형평성 개선을 위한 국가재정의 역할'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원종현 위원장은 국민연금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 역할론을 강조했다.
윈 위원장은 국민연금 기금 운영수익률을 4.5%로 보수적으로 잡아도 이번 해 정부가 10조 원을 투입하면 2055년엔 37조 4500억 원으로 불어난다고 주장했다. 운영수익률을 5.5%로 높이면 49조 8400억 원, 6%로 높이면 57조 4300억 원이 될 것이라고 계산했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기금이 고갈된다는 2071년에는 10조 원이 75조 7400억 원(운영수익률 4.5%), 117조 3900억 원(운영수익률 5.5%), 145조 9천억 원(운영수익률 6%)으로 불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만약 정부가 10년 간 매년 10조 원을 투입할 경우, 운영수익률이 6%라면 2071년에는 100조 원이 약 1219조 원까지 늘어난다는 게 원 위원장의 분석이다.
이런 구상이 현실화된다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더 인상하지 않더라도 1500조 원대에 달하는 적자를 대부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연금개혁특위 남인순 위원장은 원 위원장의 주장과 관련해 "사전 국고투입은 현 세대가 생산한 자원의 일부를 미리 연금에 투입함으로써 미래에 보험료율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고, 고령화로 인해 미래세대가 부담해야 할 과도한 노인부양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같은 당 오기형 의원은 "최근에 국민연금이 매우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고, 연평균 운용수익률 6.5%를 가정하면 기금 소진 시점이 2057년에서 2090년으로 연장된다는 국회예산정책처의 분석 결과도 있다"며 "1988년에서 2024년까지의 연평균 수익률이 6.82%이므로, 6.5%는 불가능한 수치가 아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