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위기의 중소기업, 돌파구 마련 위한 혁신 방안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중기중앙회, '위기에서 혁신으로' 정책토론회 개최…"제조업 위기, 더 이상 과장 아냐"

중기중앙회 제공중기중앙회 제공
중소기업중앙회가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 위기에서 혁신으로'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글로벌 환경 변화와 국내 산업 현안 속에서 중소 제조업 위기를 진단하고, 자구적 혁신 방안과 정부의 정책 지원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기중앙회 오기웅 상근부회장은 인사말에서 "제조업 위기라는 말을 20년 이상 들었지만, 지금이야말로 제조업은 위기이자 기회의 변곡점에 서 있다"며 "이번 토론회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잡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오윤환 연구위원은 발제에서 "제조업 위기라는 표현은 더 이상 과장이 아니"라며 "향후 10년간 대한민국 제조업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은 대·중소기업이 함께 축적해 온 산업 공유지를 얼마나 체계적으로 지켜내는가"라고 설명했다.

오윤환 연구위원은 또 '현장 개선 중심의 첨단화'와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공동 인프라', 'AI·로봇 등 기술 도입 지속성 확보', '혁신 투자와 신용성 연계' 등 중소기업 첨단 제조 혁신을 위한 4대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민·관·연 각계 전문가들이 GX(그린 전환)·AX(AI 전환) 관련 중소 제조업 혁신 전환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중기중앙회 박평재 부회장(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표면처리 업계가 마주한 국내 환경·안전 관련 규제가 200개를 훨씬 넘는다"며 "환경·안전 관리 측면에서 업종별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을 위해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장용환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산업구조 전환과 탈탄소 요구로 원가 압박이 심해졌다"며 전력 다소비 업종에 대한 전력비 보조 및 차등 요금 체계 정책 수립 및 ESS 등 설비 지원도 필요성을 제기했다.

곽지훈 에이아이네이션 대표는 "제조업에서 AI 확산이 더딘 이유는 정부 지원 사업이 단기 실증 위주 구조여서 실제 현장 라인 적용에 필요한 지속적인 기술 내재화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주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AI 공급 기업 인증 제도 등 평가·관리 체계와 교육·훈련을 통해 제조 현장이 AI 기술을 종합적이고 비판적으로 이해해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체적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벤처기업부 권순재 지역기업정책관은 "2030년까지 AI 중심 스마트공장 1만 2천 개 구축하고 AI 적용 기업 산업재해를 20% 감축하는 게 목표"라며 이를 위한 이행 계획으로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과 '스마트제조 기술기업 육성',  '제조데이터 표준화 등 인프라 확충'을 소개했다.
 
한편, 이날 중기중앙회가 정책토론회에 이어 개최한 '2025년 제2차 뿌리산업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은 "정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으로 에너지 비용 부담이 한층 가중될 것"이라며 "온실가스 감축 과정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를 합리화하고, 산업 현장의 에너지 전환 지원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