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남도, 2026년 예산안 12조 7023억…인구감소 대응 집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11일 도의회 제출…올해 본예산보다 1587억 1.3% 증가
'AI 선도·민생안정·공동체 강화' 등 4대 분야 전략적 투자

전라남도 윤진호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오후 2시 도청 브리팡실에서 2026년 예산안 규모를 12조 7023억 원으로 확정, 발표하며 세부 예산내역을 설명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전라남도 윤진호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오후 2시 도청 브리팡실에서 2026년 예산안 규모를 12조 7023억 원으로 확정, 발표하며 세부 예산내역을 설명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가 2026년 예산안 규모를 12조 7023억 원으로 확정, 11일 도 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12조 5436억)보다 1587억(1.3%) 늘어난 규모다. 일반회계는 4965억(5.0%)이 증가한 10조 4587억 원, 특별회계는 969억(8.5%)이 늘어난 1조 2355억 원, 기금은 4347억(△8.5%) 감소한 1조 81억 원이다.

전남도는 정부의 적극적 재정운영과 지방세수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예산안 편성 시 모든 재정사업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성과 없이 관행적으로 지원되던 사업, 유사·중복이나 집행 부진 사업 등에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구조조정으로 확보된 재원은 'OK! 지금은 전남시대'를 열기 위한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민생 회복과 성장 △인구감소·저출산 극복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등 4대 중점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반영사업은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분야의 경우 차세대 AI 산업의 변화를 이끌 △AI 기반 인력양성·스타트업 성장 지원 10억 △첨단로봇 AI 활용 중소기업 제조혁신 사업 8억 △대불국가산단 및 여수국가산단 AX(AI전환)실증 인프라 구축 7억 등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미래에너지·첨단 전략산업은 △에너지 분야 청년에너지 플러스사업 13억 △에너지기술공유대학 3억 △해상풍력기자재 공급망 구축 지원 2억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14억 △친환경 연료 화재폭발 안정성 평가 및 대응설비 개발 8억 등이다.
 
대한민국 우주항공 산업의 메카로 발돋음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업 기술자립 연계형 지역 성장 지원 10억 △국방 우주 반도체 전문인력양성 및 기술사업화 10억 △전남도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3억 등을 지원한다.
 
'민생회복과 성장' 분야는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안정을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이자 지원 등 155억 △소상공인 경영패키지 지원 2억을 반영하고, 상권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54억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50억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 17억 등을 활용한다. 농수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산물 안정생산 공급지원 57억 △전복산업 위기 극복 16억 △축사시설 현대화 33억을 반영하고 시군 간 균형발전과 자립적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133억 원을 지원한다.
 
'인구감소·저출산 극복' 분야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지역의 고질적 문제 해소를 위해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416억 원, 청년 역외 유출 방지와 더불어 살기좋은 전남을 만들기 위해 △청년 공공임대주택 건립 160억 △전남형 만원주택 건립 100억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44억 등으로 청년들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인 주거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저출산 대응 및 육아 여건 개선을 위해 △전남 출생기본수당 지급 142억 △난임 출산 시술 등 지원 21억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9억을 지원한다. 지역 청년 창업과 성장 지원을 위해 △전남 청년문화복지카드 114억 △전남 청년 희망기금 조성 10억 △청년사관학교 운영 27억 원도 반영했다.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분야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 복지 시책으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 확충 94억 △경로당 운영비 확대 32억 △어린이집 운영비 확대 20억을 지원한다. 지역맞춤형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글로컬대학 운영 및 RISE 사업 1340억 △고등학교 무상교육 지원 15억 △지역인재 육성지원 사업 6억을 반영했다. K-관광·문화 산업을 선도하고 전남도의 위상을 제고하고 위해 △2026 전남 섬 방문의 해 8억 △K-문학 페스티벌 5억을 지원한다. 국제행사인 여수세계섬박람회의 차질 없는 준비를 위해 △기본사업 32억, 확대사업 10개 사업 67억 원 이외 연계사업 27개 사업 53억 원을 추가 반영했다. 도민 안전·편의 증진을 위해 △지방도 정비사업 1100억 △지방하천 정비사업 991억 △전남형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8억 등을 반영했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방세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도민에게 필요한 예산을 적재적소에 담기 위해 노력했다"며 "내년 예산이 도민 삶에 잘 스며들도록 관리 감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가 제출한 2026년 예산안은 제395회 전남도의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