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수도권으로 향하는 송전탑 건설, 피해는 충남이…중단돼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충남 시민사회단체·진보정당 '송전탑 백지화 대책위원회' 발족

6일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충남 송전탑 백지화 대책위원회' 발족 기자회견. 충남환경운동연합 제공6일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충남 송전탑 백지화 대책위원회' 발족 기자회견. 충남환경운동연합 제공
충남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진보정당들이 충남을 지나 수도권으로 향하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며 '충남 송전탑 백지화 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대응에 나섰다.

충남환경운동연합과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를 비롯한 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각 지역 대책위, 진보당·정의당·노동당 충남도당과 충남녹색당 등 진보정당들은 6일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호남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는 데 충남 13개 시군이 경유 구간에 포함됐다"며 "충남은 단지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기 위해 피해를 보게 된다"고 비판했다.

호남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의 용인 국가 반도체 산업단지로 보내는 과정에서 충남 곳곳에 송전철탑을 건설하는 계획이 송변전 설비계획에 포함됐다는 것이다.

단체들은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생산했지만 이 전기를 소비하기 위해 기업이 입주하는 경우는 없었다"며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빨려 들어갔고 이 과정에서 충남은 수천 개의 송전철탑이 지역 곳곳에 박혀야 했는데 또 다시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남환경운동연합은 앞서 지난 6월에도 "충남은 이미 1395㎞에 달하는 송전선로로 고통받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지금처럼 전력 생산은 지방에서, 전력 소비는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방식은 에너지 정의에 부합하지 않고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밖에 없다"고 꼬집은 바 있다.

단체들은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과 소비하는 지역을 분리시킬 것이 아니라 지산지소 원칙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수요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체계를 바꿔야 한다"며 "전력 생산 지역에 수요 기업을 유치하면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을 줄이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