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부산테크노파크 시험장비, 절반 이상 '외지 기업 몫'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김태효 시의원 "부산기업 활용률 44%…타지역이 절반 넘어"부제목
"국비사업이라도 지역기업 접근성 높여야" 지적
"부산기업 할인·바우처 제도 도입 검토 필요"

김태효 의원. 부산시의회 제공김태효 의원.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시와 중앙정부의 예산으로 구축된 부산테크노파크 시험‧분석 장비가 지역 기업보다 타지역 기업에게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의회 김태효 의원은 "내 집 살림을 옆집이 더 많이 쓰는 격"이라며 지역 기업 우선 지원 정책 강화를 촉구했다.

부산테크노파크 장비, 지역기업 지원 취지 무색


부산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축된 부산테크노파크(이하 부산TP)의 시험‧분석 장비가 정작 타지역 기업의 '실험실'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시의회 김태효 의원(국민의힘, 해운대구 반여2‧3동, 재송1‧2동)이 부산TP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부산TP 내 10개 센터의 장비 활용 1260건 중 부산 기업이 이용한 건수는 551건으로 43.7%에 그쳤다.

반면 경기권 기업이 21%, 영남권이 18%로, 타지역 활용률이 절반을 넘었다.

"누구를 위한 장비인가"


특히 전력반도체센터의 반도체 소자‧신뢰성 시험장비의 경우 부산 기업 활용률이 37.7%에 불과했으며, 경기권 기업의 활용률은 55.2%로 압도적이었다.

의료기기 인증 시험장비를 보유한 바이오헬스센터의 경우에도 부산 기업 이용률은 14.9%에 그쳤다. 김 의원은 "국비와 시비를 들여 구축한 장비를 경기권 기업이 주로 활용하는 건 사업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테크노파크 "타지역 기업 배제 어렵다"


부산TP 측은 일부 장비가 중앙부처 예산으로 구축된 만큼 타지역 기업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또 의료기기 인증 장비의 경우 전국적으로 부산에만 복합시험이 가능한 시스템이 있어 타지역 기업 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지역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설립 목적에 맞게 접근성과 편의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장비 활용 비용 할인이나 바우처 지원사업을 확대해 지역 기업 중심의 장비 운용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