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와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6일 오전 광주 북구 전남대 후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남대 대학원생의 죽음과 관련해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김한영 기자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가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대학원생의 극단적 선택과 관련해 교수들의 갑질과 대학의 방조를 강하게 비판하며 진상조사 결과 공개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이하 '민변 광주전남지부')는 6일 오전 광주 북구 전남대 후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13일 전남대 공대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A(24)씨가 연구실 내 부당한 지시와 폭언, 과도한 업무 부담 속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며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대학 연구공동체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사회적 사건이다"고 밝혔다.
민변 광주전남지부는 "지도교수가 논문에 기여하지 않은 인물을 공동저자로 올리고, 학생 인건비를 회수·관리하게 했다"며 "연구교수는 학교와 무관한 업무를 시키고 기한을 넘기면 협박까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남대는 뒤늦게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렸지만, 인권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더는 젊은 대학원생들이 교수 갑질과 학교의 무관심으로 고통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 유족은 "사건과 관련한 산업재해를 신청하려는 것은 떼를 쓰는 것이 아니라 가해 교수들의 책임을 물으려는 것이다"며 "법의 심판을 받고 학교가 책임을 인정할 때까지 모든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민변 지부는 "사건 발생 넉 달이 지났지만 지도교수 등 피조사자에 대한 징계조차 착수되지 않았다"며 "가해 교수들에 대한 신속한 징계와 수사기관 협조, 추가적인 연구윤리 위반 고발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를 비롯해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 전남대 총학생회, 공공운수노조 광주전남지부,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정의당 광주시당 청년위원회 등 10여 개 단체가 함께했다.
참석 단체들은 "전남대는 진상조사보고서와 인권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가해 교수들을 징계하라"며 "또 다른 희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 대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A씨는 지난 7월 13일 광주 북구 전남대 생활관 옥상에서 추락해 숨진 채 발견됐다. A씨는 숨지기 직전 지도교수와 연구교수로부터 갑질 피해를 당했다는 취지의 글을 메신저에 남겼다.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가해 교수 2명을 직권남용과 강요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