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는 올해 3분기 도내 청년 고용률이 39%를 기록해 1분기보다 3.2%P 상승했다고 5일 밝혔다.
같은 기간 전국 청년 고용률은 45.3%로, 0.4%P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경남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청년 실업률은 1분기 7.9%에서 3분기 4.2%로 하락해 전국 시도 중 2위를 기록했다.
경남의 청년 실업률은 하락세를 보이지만, 고용률은 전국 평균에 못 미친다. 도는 그 원인으로 청년의 높은 대학 진학률을 꼽았다. 경남의 대학 진학률은 82.9%로 전국 1위다. 즉시 취업 가능한 청년층이 감소해 고용 시장 진입이 지연되고 있다는 의미다.
또,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청년층의 경제활동 포기 현상이 증가하는 추세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음'으로 응답한 청년이 최근 3년간 급증했다. 단순 구직 포기 말고도 취업 실패 반복, 전공·직종 미스매치, 경력직 중심 채용, 직장의 번아웃·경직된 조직문화 등이 이유로 꼽혔다.
이에 도는 청년 고용률 상승을 목표로 재학·졸업·재직의 종합 고용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재학 단계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현장실습 지원사업·라이즈(RISE) 사업 추진 등으로 학생들이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도록 지원한다.
졸업 단계에서는 청년 일경험(인턴) 지원사업·청년도전 지원사업·청년성장 프로젝트로, 구직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다. 재직 단계에서는 직장 적응 지원사업·기업 채용 연계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청년 친화기업 지원사업으로, 청년이 직장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고 장기 근속할 여건을 마련한다.
경남도 황주연 산업인력과장은 "지역이 살고 도시가 성장하기 위해 청년이 머물고 일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