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10월 소비자물가 2.4%↑…1년 3개월 만에 최고 증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축산물과 수산물 5%대 급증…석유류도 4.8% 올라

국가데이터처 제공국가데이터처 제공
10월 물가가 올해 처음으로 2% 중반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117.42(2020=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1.9%)을 빼고는 올해 꾸준히 2%대를 유지하다, 지난 8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보상으로 1.7%로 떨어졌지만, 이후 다시 9월 2.1%에 이어 두 달째 2%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특히 이번 2.4% 인상폭은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해 들어서는 가장 높았던 지난 1월(2.2%)과 6월(2.2%)에도 2% 초반대를 유지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2% 중반대에 접어들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으로 쓰는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2.2% 올랐고, 또다른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도 2.5% 올라 두 지표 모두 두 달 연속 2%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또 시민들이 자주 구매해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된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도 2.5% 올랐다.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0.8% 떨어졌는데, 신선어개와 신선과실은 각각 6.2%, 10.8%씩 떨어졌지만 신선채소가 14.1%나 급락했다.

부문별로 지출목적에 따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식료품·비주류음료(3.5%), 음식·숙박(3.2%), 교통(3.4%), 기타 상품·서비스(4.3%)의 증가폭이 컸다.

품목 성질별 등락률을 비교하면 서비스가 2.5% 오르며 증가세를 주도했고, 상품도 2.3% 올랐다.

서비스의 경우 집세는 0.8%, 공공서비스는 1.2% 상승에 그쳤지만, 외식(3.0%)과 외식제외(3.6%) 모두 크게 오르며 개인서비스가 3.4%나 치솟아 전체 물가를 1.14%p 끌어올렸다.

상품에서는 전기·가스·수도는 0.4% 상승에 그쳤고 공업제품은 석유류가 4.8% 올랐지만 2.3% 상승에 그쳤는데, 농축수산물이 3.1% 급증했다. 채소류는 14.1% 감소하며 농산물은 1.1% 상승에 그쳤지만, 축산물(5.3%)과 수산물(5.9%)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농축수산물을 품목별로 보면 쌀(21.3), 사과(21.6), 돼지고기(6.1), 국산쇠고기(4.6), 고등어(11.0), 찹쌀(45.5), 달걀(6.9)에서 크게 올랐다. 반면 배추(-34.5), 토마토(-29.3), 무(-40.5), 당근(-45.2), 상추(-20.8), 오이(-14.5), 포도(-6.3)는 물가가 뚝 떨어졌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