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청 전경. 제주도청 제공역대 최대 지방채 발행이 포함된 내년 제주도 예산안이 7조 7800억 원 규모로 편성돼 제주도의회에 제출됐다.
제주도는 민생 회복과 알찬 성장에 중점을 두고 2026년 예산안을 7조 7875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 7조 5783억 원보다 2.76%(2092억 원) 증가한 수치로, 제주도는 내년 예산안을 지난 달 31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예산안은 경기둔화 국면 돌파와 도민 생활 안정, 청년·미래세대의 성장 기반 마련에 중점을 뒀다.
양기철 제주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소상공인 경영 안정과 청년 주거지원 등 생활 밀착형 정책을 늘리고, 농민수당 인상과 산지유통시설 확충으로 1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또 복지 예산 비중이 처음으로 25%를 넘어선 것이 특징이다. 복지 분야에서 손주돌봄 수당 도입, 장애인고용 촉진 장려금 확대 등 체감형 정책이 보강됐다.
미래전략 사업도 본격화되는데 인공지능(AI) 기후재난 대응체계 구축과 디지털 신원인증, 바이오·해양치유 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100%(RE100) 기반 에너지 전환 실증 등의 사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지방채 발행은 4820억 원 규모로 역대 최대라는 점은 제주도 재정에 부담이다. 올해보다도 2300억 원 가까이 늘었다.
양 실장은 내년 예산에 4500억 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으로 지역개발채권을 포함하면 4820억 원이 된다며 침체된 건설경기를 부양하고 공공서비스 인프라를 확충과 일몰제 적용에 따른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보상 등을 위해 확장 재정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내년 예산안의 분야별 증감을 보면 일반행정 분야의 예산은 9.47%가 감소한 반면 문화와 관광 분야는 전국체전, 문화·체육 인프라 조성 등으로 13.33%가 증가했다.
예산은 맞춤형 민생경제 활력, 복지 안전망 강화, 인공지능(AI)·디지털 혁신, 탄소중립·청정에너지 선도, 지속가능 제주형 경제 등 5대 중점 분야에 투자된다.
우선 이동노동자 쉼터 운영지원(12억원)과 제주청년 희망사다리 재형저축사업(16억 5천만원)에 쓰이고 탐나는전 포인트 적립지원(280억원)과 공공배달앱 활성화 지원(8억원)도 확대된다.
농민수당이 1인당 4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확대되고 원예농산물 가격안정제가 새로 도입돼 36억 원이 투입된다.
청년농업인을 위한 영농정착 지원사업(7억 7천만원)과 청년층의 주거부담 완화를 위해 공공임대 3만원 주택사업(11억 7천만원), 청년층 주거비 부담 경감(33억 8천만원)과 청년 이사비 지원(2억원) 등 청년 지원사업도 대폭 확대된다.
또 복지사업으로 손주돌봄 수당이 매월 30만원부터 60만원까지 지원되고 청소년부모 자립촉진수당이 월 20만 원 지급된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이 본격화돼 모두 25억원이 투자된다.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후해양재난 모니터링 실증(20억원)과 디지털 통합 신원인증체계 구축(20억원) 사업이 추진되고 해양치유 미래산업(70억원)과 바이오산업 전주기 AI플랫폼 구축(135억원), 관광 체험형 자율주행서비스 지원(6억원) 등 미래산업도 본격화한다.
문화 관광 분야에선 지역특화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거점센터가 조성되고 제주 로케이션 유치 활성화를 위한 민간지원도 확대되며 제주 올레패스 고도화(5억원)와 관광마라톤축제(11억원), k-컬처 페스타(2억 8천만원) 등도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