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이 29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조시영 기자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질 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일부 후보들이 여론조사에 불참하거나 보이콧을 예고한 가운데,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이 "시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은 29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 후보들이 특정 후보의 정당한 경력을 문제 삼으며 언론사의 여론조사를 보이콧하고 있다"며 "이는 시민의 알권리를 제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하는 심각한 행위"라고 밝혔다.
그는 "여론조사는 자신들에게 유리할 때는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불리할 때는 상대 후보의 경력을 문제 삼아 조사 자체를 방해하는 것은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며 "이런 행태는 매우 잘못된 일이며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교장은 자신이 사용한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현직 교육감과 일부 후보들이 이 경력을 빌미로 언론사의 여론조사를 방해하거나 불참을 선언하는 것은 시민의 투명한 정보 접근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세종시 최교진 교육부장관이 교육감 출마 당시 '노무현재단 대전충남지역위 공동대표' 경력을 사용했을 때도 아무 문제가 없었고, 현 이정선 교육감 역시 2022년 선거 공보에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경력을 사용했다"며 "그런데 이제 와서 제 경력만 문제 삼는 것은 내로남불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김 전 교장은 또 "현직 교육감이 시민 지지를 얻지 못한 이유를 성찰하기보다 타 출마 예상자들과 함께 여론조사를 막는 것은 정치적 유불리를 넘어선 옹졸한 처사"라며 "전국 어디에서도 교육감 선거에서 경쟁 후보의 경력을 문제 삼아 여론조사를 보이콧한 사례는 없었다. 이런 황당한 일이 유독 광주에서만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교장은 "후보자의 경력은 그 사람의 삶의 궤적이자 철학의 단면"이라며 "경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민주사회의 기본이며, 판단은 시민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떠한 압박 속에서도 시민의 알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해 끝까지 당당하게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