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심화…"수도권 베이비부머 이주 해법 제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한경협 "지역 중소기업 10곳 중 5곳 인력난…중장년 지방 취업 촉진 필요"
"베이비부머 귀촌·재취업 지원…지역 경제·내수 활성화 효과 기대"
기업 절반 '50대 이상 채용 의향'…인센티브·주거 지원이 관건

수도권에 집중된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를 지역 중소기업 일자리와 연결해 인력난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정책 제안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3일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내고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며 "은퇴를 앞둔 수도권 중장년층의 지역 기업 취업을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과 제주권을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의 51.4%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업의 인력난 비율이 6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기술·생산직(35.3%) △서비스직(27.7%) △사무·관리직(12.1%) 순이었다.
 
인력 부족의 원인으로는 '낮은 급여와 복리후생'(32.9%)이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업종·직종 특성(16.6%) △지역 인구 감소 및 인재 유출(12.4%) △수도권 선호(11.1%)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또 지역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52.2%)은 '50대 이상 중장년층'을 고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인력난을 겪는 기업의 경우 채용 의지가 60.7%로 더 높았다. 중장년 인력의 장점으로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31.0%), 높은 책임감과 성실성(29.9%), 장기 근속과 낮은 이직률(18.2%) 등이 제시됐다.
 
한경협은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와 지역 도시, 지역 중소기업을 연계하는 '3자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중장년층이 비수도권으로 이동해 안정적인 주거와 일자리, 의료·복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노후 생활을 설계하도록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은 이들을 고용해 인력난을 해소한다는 구상이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실제 이 모델을 중소기업들에 설명한 결과, 응답 기업의 45.8%가 "인력난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제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귀촌 중장년 채용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23.5%)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 지원(21.0%) △맞춤형 직무 교육 및 재취업 프로그램(13.8%) △시간제·공공 근로 등 다양한 일자리 유형(13.0%)이 꼽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가 고향이나 지방 도시로 돌아가 지역 중소기업에서 다시 일한다면, 인력난 해소뿐 아니라 지역경제와 내수 회복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